경제 >

소비심리 냉랭, 경영환경 악화…짙어지는 경기암운

기대 인플레 3.3%…9년7개월래 최고
기업, 3개월 연속 경기전망 부진 우려

소비심리 냉랭, 경영환경 악화…짙어지는 경기암운
소비자가 예상하는 향후 1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이 또 올라 9년 7개월 만에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5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3%로 집계됐다. 4월(3.1%)보다 0.2%포인트 올랐을 뿐 아니라 2012년 10월(3.3%) 이후 9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이날 한 대형마트의 식료품 매장 모습. /사진=뉴스1화상

[파이낸셜뉴스] 원자재값 급등과 물가 폭등이 지속되면서 경제 전반에 불안이 고조되고 있다. 기업생산 등 실물, 소비, 금융 등 전방위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게 지표로 확인되고 있다. 위기가 세계적 현상이 되면서 수출 또한 영향을 받아 무역수지 적자 폭도 급격하게 늘고 있다. 경제 전반에 경고등이 켜지면서 정부는 민생 안정, 인플레이션 심리 차단, 금융시장 안정 등을 핵심으로 하는 경제정책을 잇따라 준비하고 있다.

■ "물가, 오늘이 가장 싸"…기대 인플레↑
24일 한국은행이 내놓은 '2022년 5월 소비자동향조사'는 물가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드러냈다. '물가가 더 오른다'는 심리가 자리잡았다.

기대 인플레이션율이 3.3%로 집계됐다. 4월(3.1%)보다 0.2%포인트 올랐다. 2012년 10월(3.3%) 이후 9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소비자가 지난 1년간 주관적으로 체감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의미하는 '물가인식'(3.4%)도 역시 한 달 사이 0.2%포인트 높아졌다. 2013년 1월(3.4%) 이래 9년 4개월 만의 최고 기록이다.

인플레 우려가 높아지면서 소비심리는 하락 전환했다. 5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2.6으로 지난달(103.8)보다 1.2p 하락했다. 전달까지 두달연속 상승했지만 다시 하락세다. 물가상승세, 금융시장 불확실성에다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심리지수를 구성하는 6개 지수 중 4개 지수가 하락했다. 현재생활형편(89)과 향후경기전망(84)이 전달보다 각각 3p 하락하고 생활형편전망(93)과 가계수입전망(98)도 각각 1p씩 하락했다. 금리수준전망CSI(146)이 역대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주택가격전망CSI(111)는 3p 하락했다.

이종현 한은 경제통계국 통계조사팀 과장은 "체감물가가 상승하는 상황에서 기대인플레가 상승해 2012년 10월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며 "현재 체감물가 상승하고 있고 대외 불확실성 확대, 경기 전망 불확실성 고조 등으로 이 같은 상승 추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연구기관들은 우리 경제가 대외 위험요인에도 민간소비를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가 지속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이처럼 소비심리가 빠르게 식는 게 지표로 확인되면서 향후 경기흐름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된다.

■ 원자재 폭등…기업경영환경 악화일로
국제 원자재 가격 폭등, 주요국 경기 부진 등 대내외 경제불안이 지속되면서 기업들의 경기전망은 갈수록 어두워지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이날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 6월 BSI 전망치는 96.3이었다. BSI가 100보다 낮으면 전월 대비 부정적 경기 전망이 우세하다는 뜻이다.

BSI 전망치는 최근 3개월 연속 기준치(100)를 밑돌았다. 전망치가 3개월 이상 100 밑으로 떨어진 것은 지난해 2월(지난 2018년 5월부터 2년 9개월간) 이후 16개월 만이다.

특히 수출(97.8), 자금사정(96.6), 채산성(95.7)에 대해 기업들은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수출은 올 4월부터 3개월 연속 부정적 전망을 기록했다.
이를 반영하듯 올 들어 20일까지 무역수지 적자는 109억6400만달러를 기록했다. 에너지 값 등이 급등하면서 늘어난 수입액이 큰 폭으로 늘어서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최근 국내기업들은 물가급등, 중국 경제 부진 등으로 매출 감소가 예상되는 가운데, 긴축에 따른 금융비용의 부담도 가중되는 상황"이라며 "세부담 완화, 주요 수입품목에 대한 관세 인하 등으로 기업의 수익성 확보에 도움을 주는 한편, 불합리한 규제를 개선하고, 후진적인 노동시장을 개혁하는 등 기업경영에 활력을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김경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