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특용작물 대량생산 가능한 ICT 농업시스템 원천기술 개발" [로컬 포커스 강소기업 CEO를 만나다]

ICT 정밀농업 플랫폼 기업
권미진 애그유니 대표
수직농업 팩토리 시스템으로
'소재 식물공장' 표준화 가능
기존 스마트팜 시설 단점 보완
면적 대비 생산량·수익성 향상
하반기 의료용 대마 실증 돌입
올 예상 매출 50억…16배 성장

"특용작물 대량생산 가능한 ICT 농업시스템 원천기술 개발" [로컬 포커스 강소기업 CEO를 만나다]
권미진 대표는 혁신기술로 농업과 인류를 연결하는 '농업계의 애플'이 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특용작물 대량생산 가능한 ICT 농업시스템 원천기술 개발" [로컬 포커스 강소기업 CEO를 만나다]
애그유니는 그린바이오 애그테크기업으로 성장, 진정한 6차산업의 가치를 실현하는 것이 최종 목표다. 애그유니의 스마트팜 모형도 애그유니 제공
【파이낸셜뉴스 대구=김장욱 기자】 "혁신기술을 바탕으로 농업과 인류를 연결, 진정한 6차산업을 정의할 수 있는 농업계의 애플이 되고 싶다" 지난 2019년 정밀 애그테크(Ag-Tech) 플랫폼기업으로 창업한 권미진 ㈜애그유니 대표(본사 경북테크노파크)는 회사에 대한 포부를 이렇게 밝히고, 데카콘(기업가치 100억달러(10조원) 이상인 스타트업) 기업으로 일궈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토양 근권부 제어·생육촉진이 가능한 ICT 정밀농업 플랫폼 기업

농업회사법인 해외사업부에서 전략기획과 해외영업 업무경력으로 농업을 시장 관점에서 해석하고 경험적 학습을 한 것이 바로 애그유니 창업의 큰 경쟁력이 되고 있다.

"결정적인 창업 동기는 사업을 하는 아버지를 보며 자란 것"이라는 권 대표는 "인생의 롤모델인 아버지에게 든든한 딸, 든든한 파트너가 돼주겠다는 꿈에서 비롯됐다"고 창업 배경에 대해 얘기했다. 또 그는 "농업을 먹고 사는 문제에서 더 나아가 어느 산업보다 과학적이며 융복합산업으로 이뤄낼 수 있겠다는 확신이 들자 체계적인 준비보다 직감에 따라 과감하기 창업했다"고 덧붙였다.

애그유니는 '농업을 어디에서나'(Agriculture Universally)의 약자에서 명명됐다. 권 대표가 바라보는 농업은 생산에서부터 유통, 가공까지 농업의 전후방산업을 연결할 수 있는 수익모델을 고민한 끝에 그 핵심은 생산의 혁신이라고 판단했다. 그는 "가장 부가가치가 낮고 노동집약적이며 힘들다는 생산은 반대로 바꿔나간다면 얼마든지 농업에서는 핵심 키를 쥐는 것과 다름없다고 생각했다"는 것. 그 결과 고부가가치의 농생명산업소재(특용작물, 천연물)의 대량 표준생산이 가능한 정보통신기술(ICT) 정밀농업시스템의 원천기술개발에 성공했다.

타 스마트팜 기업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상토 재배를 기반의 시장 수요형 작물을 타깃한 수직농업(버티컬파밍) 팩토리 시스템 이라는 점이다. 기존 스마트팜 시설은 일부 시설원예 작물에만 집중돼 확산에 제한적인 데다 초기 설치 및 에너지 비용이 크게 소요된다.

권 대표는 "이런 한계점을 극복한 수직농업 팩토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고 부가가치가 높은 소재작물시장의 생산에서부터 유통, 제품화까지 공급망에서의 고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소재 식물공장'을 표준화한다"고 말했다.

현재 시스템의 체계적 양산화 및 데이터 구축에 집중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고도화 해나가고 있다. 또 안정적인 유통공급망 보급을 위해 시장이 원하는 소재작물에 대한 시장 개척 및 고객 확보에도 날카롭게 접근하고 있다.

권 대표는 "애그유니는 화려한 기술 구현 자체보다 농업 생산에 있어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 집중해 어떤 작물을 적용하더라도 공통적인 문제점인 근권부를 제어하고 생산을 맞춤화 및 표준화 할 수 있는 기술이 있어야한다고 생각했다"며 "3년간의 실증 및 연구개발을 통한 정밀농업 기술을 개발해 고품질, 균일성을 확보하면서도 생육이 촉진되는 원천기술화에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또 "토양재배 시 원천적인 문제점을 기술로 해결하면서 현재는 데이터 기반의 메커니즘화를 구현하기 위해 개발을 진행 중"이라는 그는 "이런 기술을 식물공장형의 모듈로 시설화해 면적 대비 생산량을 높이면서도 데이터 기반의 시스템화할 수 있어 수요자(B2B 바이오소재기업)와 생산자(B2C) 양측에 가치를 부여하며 수익화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데이터농업으로 확장, 메디푸드 생산 시스템 등 제공

애그유니는 올 하반기 경북산업용헴프규제자유특구 사업자로 선정돼 경북 안동에서 의료용대마 실증에 들어간다. 또 마약류 학술연구자격 취득, 안성 프로젝트 등을 진행, 올해 예상 매출액 50억원 중 현재까지 20억원의 매출을 확정한 상태다. 2021년 대비 16배 정도 성장한 것으로, 이는 지난 3년간의 연구개발과 인프라 구축, 특히 권 대표의 투철한 기업가정신과 애그유니 팀이 함께 일궈낸 쾌거다.

권 대표는 "아직 안정적인 시장 진입단계는 아니지만 기술 및 사업 고도화를 통해 국내에서 정의하는 스마트팜의 인식을 깨고 차별화된 전략으로 국내 입지를 다질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실증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앞으로 글로벌시장을 주 타깃으로 할 것"이라는 그는 "미국 전략파트너 법인과의 계약을 통해 현지 팀을 구축하고, 오는 8월 라스베이거스 출장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 개척 및 시범사업까지 진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농생명산업소재(특용작물)가 활용되는 바이오신약, 건강기능식품, 코스메틱 시장은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반면 생산량과 생산자 수는 국내 기준으로 40% 규모로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이런 시장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기술로 혁신하고 농업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유통 시장모델까지 획기적으로 연계한 비즈니스모델이 돋보인다.

권 대표는 "농업 분야는 반도체, 미래차, 바이오를 합한 시장규모보다 더 큰 최대 단일시장이다"면서 "특히 농생명산업소재 및 그린바이오 영역은 미래산업이고 4차산업혁명 시대에 걸맞는 고부가가치 전략 시장이면서 농업으로 인류에 가장 큰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매력적인 시장"이라고 설명했다.

또 "기술 개발과 사업은 단계적으로 해야겠지만, 이를 융합하고 비즈니스화 해 실행하는 것은 경험, 통찰력 그리고 농업에 대한 뚝심있는 책임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애그유니는 기업부설연구소, 벤처기업, ISO인증 3건을 포함해 기술기업 답게 총 22건의 지식재산권도 보유하고 있다.
또 창업 1년차부터 연구개발과제를 조달하며 꾸준히 기술개발을 해왔고, 올해는 시장과 고객에 특화해 기술수요제안서(RFT) 과제, 네트워크형 과제 같은 실무적인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등 양·질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다. 권 대표는 "늘 준비안됨과 부족함의 연속이지만 그럼에도 성장과 성과를 이뤄나가고 도전적인 미션에 과감히 퍼포먼스 낼 수 있는 팀원들을 모아 앞으로도 이 미션을 같이 해나갈 수 있길 고대한다"고 힘줘 말했다.

한편 권 대표는 현재 세계대마산업협회 이사, 한국헴프산업진흥원 사무총장, 경북산업용헴프규제자유특구 협의체 사무국장, 한-슬로바키아협회 국제교류협력분과 부위원장으로 활동 중이다.

gimju@fn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