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fn사설] 정점 모르는 물가, 전쟁 치르듯 임해야

유가·곡물·공공요금 들썩
가용할 모든 수단 총동원

[fn사설] 정점 모르는 물가, 전쟁 치르듯 임해야
소비자 체감 물가가 크게 오르는 가운데 3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소비자가 밀가루 진열대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뉴스1
물가가 고점을 모르고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다.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대를 넘어섰을 것이라는 관측이 계속 나온다. 지난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4%였다. 금융위기를 겪었던 2008년(5.6%) 이후 13년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폭으로 충격이 컸다. 하지만 돌아보면 이 역시 시작이었을 뿐이라는 의견이다.

상승 속도는 예상을 웃돌고, 고점은 가늠이 안되는 것이 지금 현실이다. 지난해 10월 3%대 물가에 들어선 뒤 5개월을 버텼으나 지난 3월 4%대가 무너졌고, 그 후 두달 만에 5% 선까지 올라선 것을 볼 때 그렇다. 여기에다 기록적인 5%도 이제 한달을 버티지 못한 채 6%가 위협받는 지경이다.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은 당초 7~8월쯤 6%대 상승률을 점쳤다. 하지만 상승세가 워낙 빨라 시기가 앞당겨질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기저효과가 나타나는 하반기 지표상으론 안정세로 돌아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으나 요동치는 국내외 여건들을 볼 때 그럴 수 있을지 의구심이 드는 게 사실이다.

수입물가를 끌어올린 원유 가격은 상승세가 꺾일 조짐은커녕 더한 국면을 맞고 있다. 현재 배럴당 110달러 선까지 오른 국제유가는 서방의 추가 대러시아 제재로 지금보다 3배 이상 급등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등장했다. 서방은 러시아 압박을 위한 수단으로 러시아산 원유가 일정 가격 이상일 경우 구매하지 않도록 하는 석유가격상한제를 추진 중이다. 미국 투자은행 JP모간은 2일(현지시간) 서방에 맞서 러시아가 하루 최대 500만배럴씩 생산량을 줄이는 맞불전략을 구사할 수 있다는 의견을 냈다. 이럴 경우 유가가 배럴당 380달러까지 치솟을 것으로 분석됐다.

곡물 가격도 비상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3일 '국제곡물 7월호' 보고서를 통해 3·4분기 주요 곡물 수입단가가 크게 올라 식용은 2·4분기 대비 13.4%, 사료용은 12.5%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국제 곡물 가격이 최고점을 찍었던 3∼6월에 구입한 물량이 3·4분기에 국내로 들어오기 때문이다. 지난 1일부터 동시에 시행된 전기·가스 요금인상 여파도 만만치 않을 것이다. 정부는 오는 10월 한 차례 더 전기·가스 요금을 올릴 계획이다. 에너지 가격 인상은 가계 부담뿐 아니라 기업의 상품·서비스 생산비용까지 끌어올려 전체 물가를 더 옥죈다. 인플레이션 악순환에 빠지는 것이다.

지금의 고물가는 글로벌 공급부족 등 외부요인이 더 크다. 이 때문에 해법 마련이 쉽지 않겠지만 가용수단을 모두 동원해 전쟁 치르듯 대단한 각오로 임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장기 경기침체 전망으로 수출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나라 전체가 고통분담에 나설 수밖에 없다. 이런 측면에서 내년도 최저임금을 5%나 올린 것은 무책임한 결정이었다고 본다.
대기업 노조도 과도한 임금인상 요구를 자제하는 게 바람직하다. 정부는 위기의 최후 보루인 국가재정을 위해 확장기조를 진정기조로 바꾸고 엄격한 준칙을 예고했다. 맞는 방향이지만, 절박하지 않은 선심공약과 지출정리도 적극 이뤄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