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준비는 뒷전, 지역 갈등만
홀대론 휩싸인 유스올림픽
정부 부산엑스포만 챙기는데 조직위원장까지 한달째 공석
사무소 어디 두느냐 놓고도 평창-강릉 지역간 신경전
“개·폐회식 우리 지역서” 갈등
타협 안 되면 결정 11월 넘길수도
30년 된 ‘평창돔’ 선정돼도 문제
정부, 개·보수비용 절반만 지원
지자체가 나머지 부담 떠안아야
평창군 시민단체들은 10일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의 개·폐회식 장소를 강릉으로 넘기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본지 박지연 기자가 부실한 난방시설로 외풍이 심한 '평창돔' 창문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박범준 기자
개보수 중인 '평창돔' 외관 사진=박범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평창(강원)·서울=박지연 김경수 기자】 "윤석열 정부 임기 중에 국내에서 열리는 최대 국제행사는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밖에 없다. 정부가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평창군 새마을회)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유스올림픽)이 정부의 컨트롤타워 홀대론에 빠졌다. 아시아에선 처음 강원도에서 열리는 세계적 빅 이벤트라는 위상에 비해 행사 준비는 부진하다.
윤 정부 임기가 끝나고 3년 뒤 열리는 부산엑스포보다 임기 중인 2024년 1월 19일 강원도에서 개막하는 유스올림픽에 더 신경써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개막 500여일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개·폐회식 장소조차 정하지 못했다. 조직위원회는 신창재 전 위원장(교보생명 회장)이 퇴임한 이후 한달째 공석이다. 폐회식 무대를 연출할 총감독도 아직 선출하지 못했다. 평창올림픽 때와 달리 예산과 국민적 관심이 크게 줄면서 전국체전 수준의 분위기로 가라앉아 있다.
국내 정·재계 인사들이 총출동해 유치전에 나서는 2030년 부산엑스포보다 우선순위가 밀리는 분위기가 극명하게 노출되고 있다. 윤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에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과 유스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전화통화를 나눈 이후 별다른 후속 움직임이 없다. 윤 대통령과 박형준 부산시장, 국내 재계 오너들이 총출동해 2030 부산엑스포 글로벌 홍보전에 나서는 것과 크게 대비된다. 윤 대통령은 이번 유스올림픽 개막식에서 개회선언을 하기로 예정돼 있다.
■평창·강릉 개·폐회식장 분산 검토
10일 강원도, 평창군, 강릉시 등에 따르면 정부의 컨트롤타워 홀대 속에서 강원도에서 1년여 뒤에 열리는 유스올림픽이 예산부족, 지역갈등, 개·폐회식장 확정 지연 등 각종 난제에 빠져 있다.
지난해 최문순 전 강원지사가 이번 유스올림픽 조직위원회 주사무소를 강릉에 두기로 하자 평창군 지역 주민들이 반발하면서 무산시킨 바 있다. 이후 조직위 주사무소가 평창에 다시 설립되면서 지역갈등이 시작됐다. 이 같은 갈등은 김진태 강원지사가 새로 부임한 이후에도 계속되고 있다. 강원도에 따르면 김 지사는 이번주 중 평창군을 찾아 민심을 살필 계획이다. 김 지사는 부임 이후 처음으로 지난달 초 평창군을 방문, 유스올림픽 준비상황을 챙기려고 계획했지만 태풍 '힌남노' 여파로 무산된 바 있다.
평창군 주민들은 지난 2018년 평창올림픽 개·폐회식 장소에서 2024년 유스올림픽도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평창군과 강릉시의 견해차 속에서 평창군과 강릉시에서 개막식과 폐회식을 나눠서 치를 가능성도 적지 않다.
평창군 새마을회 관계자는 이에 대해 "조직위 주사무소가 강릉으로 간다고 발표했었지만 평창으로 다시 돌아왔다"면서 "동계청소년올림픽은 평창동계올림픽 후속으로 따라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평창군은 강원 유스올림픽을 완벽하게 치를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를 완전히 떨어내지 못했다.
■30년 된 '평창돔' 개보수 시급
평창군은 유스올림픽 개막식 장소로 낙점한 대관령면 수하리 소재 '용평돔'을 개보수 중이다. 평창동계올림픽 때 개막식장으로 사용했던 주경기장이 올림픽 경기가 끝난 뒤 철거됐기 때문이다. 용평돔은 평창군이 지난 2020년 용평리조트로부터 기부채납 형식으로 받아서 '평창돔'으로 이름을 바꿨다.
평창돔은 86아시안게임 이후 30년 넘게 사용하면서 노후 정도가 심각하다. 냉난방 등 기본적 설비조차 제대로 갖춰지지 않으면서 전면 개보수에 들어갔다. 평창군조차도 기존 시설로는 유스올림픽 개·폐회식장 사용이 힘들다고 판단한 것이다.
평창군 측은 "올 들어 평창돔 개보수에 돌입했으며 연말까지 마무리할 것"이라며 "개보수에 들어가는 비용은 60억원 정도로 예상된다"고 본지에 전했다. 평창돔 개보수 등을 위해 국비는 절반만 지원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나머지 비용은 강원도와 평창군이 부담해야 한다.
반면 강릉시는 4년 전 평창동계올림픽 때 사용했던 경기장 3곳을 내세워 유스올림픽 개·폐회식장 유치에 나서 유리한 입장이다. 평창동계올림픽 때 경기장으로 사용했던 강릉 하키센터, 강릉 스피드센터, 강릉 아이스아레나 등이 모두 후보지다. 이 중 강릉 하키센터가 개막식 무대 연출 및 음향 효과에 가장 효율적이어서 최적의 장소로 손꼽히고 있다는 게 강릉시 측의 주장이다.
강릉에 유스올림픽 선수촌까지 들어서면서 개·폐회식장 후보지와 거리가 인접하다는 장점까지 덤으로 얻었다.
강릉시 관계자는 "(평창과 달리) 강릉에서는 시설 개보수를 위한 추가 비용이 대규모로 필요 없다"면서 "무대 연출자들도 강릉 하키센터의 음향조건 등에 만족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본지에 전했다.
■평창올림픽 주경기장 철거 아쉬움
평창군 입장에선 평창동계올림픽 주경기장 철거에 대한 아쉬움이 크다. 평창동계올림픽 때 주경기장이었던 평창올림픽스타디움은 건설에만 635억원이 사용됐다. 평창올림픽 이후 유지비용 및 사후관리 등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서 현재 성화대만 남겨두고 모두 철거됐다.
강원도는 최대한 4년 전 평창동계올림픽 경기장을 다시 활용할 방침이다. 철거된 주경기장을 제외한 동계올림픽을 치렀던 강릉과 평창 7개 경기장을 활용할 계획이다. 또 알파인, 프리스타일스키 종목이 열릴 정선 하이원리조트와 횡성 웰리힐리파크에서도 대회를 치를 예정이다.
강릉에선 주로 실내경기인 컬링과 아이스하키, 피겨, 스피드스케이팅 종목이, 평창에선 야외경기인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등 노르딕 종목과 스키점프, 썰매 경기가 펼쳐진다.
경기시설을 새로 짓는 하이원과 웰리힐리 리조트는 9월까지 국제연맹의 점검을 받고, 빙상 등 평창올림픽 시설은 내년 9월까지 리모델링을 마무리하기로 했다.
유스올림픽 개·폐회식 장소의 최종 결정은 IOC에 달려 있다.
IOC는 두 후보지에 대한 실사가 끝난 뒤에 개·폐회식장을 이달 말까지 결정할 예정이다. 그렇지만 평창과 강릉 지역의 타협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이마저도 장담할 수 없다. 평창군 관계자는 "지연되면 11월을 넘겨 개·폐회식장이 결정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rainman@fnnews.com 김경수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