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령지 계엄령 선포하는 푸틴 러 대통령. (Sergei Ilyin, Sputnik, Kremlin Pool Photo via AP) POOL PHOTO ALTERNATIVE CROP OF XAZ107
[파이낸셜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을 ‘총력전 태세’로 전환하고 나섰다.
20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점령지 4곳에 계엄령을 선포한 푸틴 대통령은 지역별로 일종의 민병대인 ‘영토방어군’ 창설을 명령했다.
NYT는 민병대 창설로 인해 러시아군이 점령지 주민을 징용해 우크라이나군과 맞서 싸우게 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지적했다. 점령지 주민들은 러시아의 침략과 점령지 병합으로 강제로 국적이 바뀐 데 이어 전장에 내몰려 같은 민족끼리 총부리를 겨누게 됐다는 것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점령지는 우크라이나 여타 지역보다 러시아계 인구가 많은 편이지만, 우크라이나계 등 다른 민족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만만치 않은 실정이다. 러시아계라고 모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지지하는 것도 아니어서 실제로 징용이 이뤄졌다 해도 러시아가 노리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현재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군의 반격으로 동부 요충지 리만을 포함해 1만㎢가 넘는 점령지를 빼앗긴 데 이어 남부 점령지인 헤르손에서도 500㎢에 달하는 점령지를 내주는 등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러한 러시아군의 절박한 상황을 고려하면 대대적인 징용이 이뤄질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다.
러시아 국내에서의 병력 충원이 한계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는 점도 이런 관측에 힘을 싣는 요인이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달 21일 예비군 30만명을 우크라이나에 투입하기 위한 부분 동원령을 발령했다가 러시아 각지에서 반대 시위가 벌어지고 젊은이 수십만명이 해외로 도피하는 등 정치적 역풍에 직면해야 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주민 징용은 부차적 목표이고, 계엄령 선포는 ‘특수군사작전’이라며 의미를 축소했던 우크라이나 침공을 ‘전쟁’으로 규정한 것이라고도 분석했다.
다른 한편으로는 모스크바를 비롯해 러시아 80여개 지역에 주요 기반시설과 대중교통, 통신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라는 지시를 근거로 내부 통제를 강화하려는 의도라는 분석도 나온다.
사실상 전시체제에 해당하는 조치들이다.
그러나 푸틴 대통령이 사실상 전시체제에 돌입하면서도 불리한 전황을 뒤집지 못하면 전쟁을 지속하는 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결국 핵공격이나 총동원령 발령이 남은 수단인데 이는 푸틴 대통령으로서도 권력 기반을 위협할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sanghoon3197@fnnews.com 박상훈 수습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