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 화해·외교의 장...세계적 '축제' 추진

인천시 "화해·외교의 장으로 승화...노르망디 벤치마킹"
진보단체 "민간인 희생 상처·한반도 긴장 여전…실익 없어"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 화해·외교의 장...세계적 '축제' 추진
인천상륙작전기념관 야외전시물. 사진=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인천시가 '인천상륙작전'을 프랑스 노르망디상륙작전에 버금가는 국제행사로 기념하는 방안을 추진하자 진보정당·단체들은 "남북 간 군사적 긴장과 미·중 갈등을 비롯한 외교적 상황을 고려할 때 어불성설"이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인천 자유공원에 있는 맥아더 장군 동상의 보존·철거 문제를 놓고 보수·진보 진영 간 수십 년째 갈등을 벌이고 있는 인천이 이번에는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 확대 문제를 놓고 이념의 힘겨루기를 하는 모양새다.

인천상륙작전은 1950년 9월 15일 작전명 '크로마이트 작전'으로 한·미·영 등 유엔 8개국 연합군과 261척의 함정이 투입돼 단행한 2차 세계대전 이후 최대 규모 상륙작전이다.

특히 인천상륙작전은 당시 유엔(UN)군 총사령관이었던 미국의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이 성공확률 5000분의 1이라는 상륙작전을 실행에 옮겨 성공시킨 작전으로 알려졌다.

이 작전은 북한군의 허리 측면을 잘라 보급선을 차단해 90일 만에 서울을 수복하는 등 중·러를 뒤에 업은 북한군에 밀려 한반도 전역이 적화되는 풍전등화(風前燈火)와 같이 불리했던 한국전쟁(6·25 전쟁)의 전세를 일거에 역전하는 세계전사에서도 손꼽히는 명작전으로 평가된다.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 화해·외교의 장...세계적 '축제' 추진
유정복 인천시장이 프랑스 노르망디 캉 기념관에서 방명록을 작성하고 있다. 사진=인천시 제공
인천시는 올해 민선 8기 유정복 시장 취임 이후 참전용사와 유가족 중심의 기념식과 몇 가지 추모식이 전부인 인천상륙작전을 한국전쟁의 전세를 역전시킨 역사적 의미에 걸맞는 '구국의 작전'으로 평가받는 기념사업이 필요하다며 참전국 정상이 참석하는 국제행사로 확대를 추진해 왔다.

2차 대전의 전환점이 된 노르망디작전의 현장인 프랑스 캉에 세워진 기념관(Memorial de Caen)의 경우 연간 40만명 이상이 방문하는 미래 세대를 위한 평화교육의 장으로 자리 잡았다.

또 '노르망디상륙작전 기념식'은 화해와 외교의 장으로 매년 20여 개국 정상이 참석하는 대규모 국제행사로 2차 대전 당시 연합군의 승리에 결정적 역할을 한 작전의 의미를 되새기고 참전용사들의 희생으로 얻은 자유의 중요성을 후세에 알리는 국제외교와 살아있는 교육현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인천시는 노르망디작전 기념행사를 벤치마킹해 내년부터 기념사업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방침으로 장기적으로는 볼거리·먹거리·즐길거리가 풍성한 세계적인 '축제'로 발전시키고, 인천상륙작전 75주년이 되는 2025년에는 작전 참가 8개국 정상과 참전용사들이 참여하는 국제행사를 개최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 화해·외교의 장...세계적 '축제' 추진
인천시가 2일 월미공원에서 인천상륙작전 당시 무고하게 희생된 주민들의 넋을 기리기 위한 '월미도 원주민 희생자 위령비' 제막식을 열었다. 사진은 월미도 원주민 희생자 위령비. 위령비에는 '1950년 한국전쟁 인천상륙작전 당시 유엔군 소속 미군의 폭격으로 월미도에서 무고하게 희생된 원주민들의 넋을 기리기 위해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권고에 따라 건립했다'라고 적혀있다. 사진=인천시 제공
그러나 인천시의 기념행사 확대 계획에 대해 진보정당과 단체들은 "미군 폭격에 민간인 희생 되었다며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정의당 인천시당과 민주노총 인천본부 등은 지난 6일 보도자료를 내고 "남북 간 군사적 긴장과 미·중 갈등을 비롯한 외교적 상황을 고려할 때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 확대는 어불성설"이라며 "과거에도 기념식 확대를 추진하다가 동족상잔의 비극을 축제 소재로 활용한다는 비난을 받고 중단된 바 있다"며 "인천시의 상륙작전 기념행사 확대 계획은 '평화 도시를 위한 인천시민들의 노력을 물거품으로 만드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기념행사 확대는 인천의 세계적 이미지 제고와 발전에 실익이 없다"고 일축했다.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도 2008년 '월미도 미군 폭격사건 진실규명 결정서'에서 당시 폭격에 따른 민간인 희생자 수를 100여명으로 추산하면서 "월미도 거주 민간인들이 1950년 9월 10일 인천상륙작전에 선행한 미군의 폭격으로 집단희생됐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인천시는 지난해 월미공원에 '1950년 인천상륙작전 당시 유엔군 소속 미군의 폭격으로 월미도에서 무고하게 희생된 원주민들의 넋을 기리기 위해 위령비를 세우고, 이와 별도로 2019년 제정된 시 조례를 근거로 월미도 미군 폭격 피해 주민과 유족 23명에게 월 25만원의 생활안정 지원금을 지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고주룡 인천시 대변인은 11일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 확대는 일부의 우려처럼 인천을 전쟁과 분단의 상징도시로 만드는 게 아니라 한국전쟁 당시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대한민국을 구한 작전의 역사적 의미와 중요성을 재조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강조하고 "화해와 외교의 무대가 된 노르망디작전 기념행사에서 보듯 세계적으로 공유된 인천상륙작전의 가치는 인천이 초일류 글로벌 도시로 도약하는 자양분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 화해·외교의 장...세계적 '축제' 추진
노르망디 캉 기념관 전경. 사진=연합뉴스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