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농산물 유통 디지털 전환 속도… "비용 대폭 절감"

농산물 온라인거래소 올해 출범

정부가 농축산물 산지 유통 거점화·규모화와 온라인 도매시장 개설 등으로 유통비용을 대폭 절감한다.

10일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산물 유통구조 선진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농산물 유통비용이 최대 50%에 육박하자 온라인 직거래를 확대하는 등 조치를 단행해 2027년까지 최대 6%포인트(p) 줄인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가정·외식용 등 소비자가 원하는 다양한 상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주요 품목 주산지에 스마트 농산물유통센터(APC) 100개소를 2027년까지 구축하기로 했다.

스마트 APC 전담 운영주체로 전문 품목 중심으로 생산·판매가 통합돼 대량 공급능력을 갖춘 생산·유통 통합조직도 2027년까지 100개소 육성한다. 산지 대규모 통합물류를 위한 냉장유통(콜드체인) 시스템 기반 권역별 스마트 물류 거점(허브) 구축도 검토한다.

농식품부는 디지털 기술을 적극 활용해 농산물 거래 방식을 근본적으로 혁신하기로 했다. 도매유통 주체들이 시·공간 제약 없이 전국 단위로 거래가 가능한 농산물 온라인거래소를 2023년 출범한다. 채소·과일 품목 거래를 시작으로 축산(2025년), 식품· 양곡(2027년)까지 거래 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또 비효율적인 수기 거래체계를 사전 예약 기반의 전자거래 체계로 전환하기 위해 도매시장 거래 정보를 디지털화한 전자송품장을 올해부터 가락시장에 시범 도입한다. 산지의 출하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시장별 적정 출하 유도를 위한 전자송품장 기반 출하·구매예측시스템도 올해 도입한다.

김종구 농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은 "새 유통시스템을 위해 유통 4법 체계 정비를 추진할 것"이라며 "업계·이해관계자, 관계부처 등과 지속 소통해 추진사항을 차질 없이 이행해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lkbms@fnnews.com 임광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