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성현 산림청장, '전국 산불방지 종합대책' 발표
- '동해안산불방지센터'와 '비무장지대항공관리소' 설치
남성현 산림청장이 31일 정부대전청사 기자실에서 '2023년도 산불방지 종합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사진=산림청 제공>
[파이낸셜뉴스 대전=김원준 기자] 24시간 연기나 불꽃을 자동 감지하는 인공지능(AI)기반의 산불감시 폐쇄회로(CC)TV가 강원과 경북 동해안에 확대 설치된다. 임도가 없는 험한 산악지형을 오르내릴 수 있는 고성능 산불진화차가 도입되고, 공중 산불진화 지휘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공중지휘통제관(ACC) 및 지상안전통제관(GSC) 제도가 도입된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31일 정부대전청사에서 기자브리핑을 갖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전국 산불방지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종합대책에 따르면 산불 감지센서나 인공지능(AI) 학습과 연계되는 지능형 CCTV를 이용, 24시간 연기·불꽃을 자동으로 감지한다. 이러한 산불 예방 정보통신(ICT) 플랫폼은 산불 위험이 큰 강원과 경북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기존 6곳에서 10곳으로 확대 설치된다.
'산불상황관제시스템'에 원전과 액화천연가스(LNG) 저장소, 문화재 등 국가 중요시설물 14만6000곳의 위치를 탑재, 실시간 산불을 관리한다. 전국 송전탑의 77%가 산림에 설치된 점을 감안, 한국전력공사와 협업해 산림 내 송전탑·송전선로 안전 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인근에서 산불이 났을 때 산불지연제(리타던트)를 투입한다.
동해안 지역 대형산불 및 남북접경지역 산불 대응을 위해 '국립 동해안산불방지센터(경북 울진)'와 '비무장지대(DMZ) 항공관리소'를 각각 신설한다.
긴 가뭄이나 산불 장기화에 따른 급수 여건 악화에 대비하기 위해 산 정상부나 능선에 이동형 물주머니(30개·900L)를 배치하고, 산악지형에 특화된 고성능 산불 진화차(18대)도 도입한다. 올 2월부터 차례로 도입하는 고성능 산불 진화차는 기존 진화차보다 담수량이 3배 더 많고(3000L) 험준한 산악지형에 적합해 강원·경북 동해안 지역부터 우선 배치한다. 야간산불에 대비, 드론에 열화상카메라를 장착해 산불 이동선을 확인할 수 있도록 드론 산불진화대(10개팀)를 운영한다.
지방자치단체 임차 헬기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조종사 비행 경향 분석을 바탕으로 하는 위험 요소 경감 기법을 민간업체와 공유한다.
또 헬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공중산불진화 지휘체계를 강화하기위해 공중지휘통제관(ACC), 지상안전통제관(GSC)제도를 도입한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산림청을 중심으로 지방자치단체와 행정안전부, 국방부, 소방청 등 관계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산불재난에 적극 대응할 것"이라며 "대부분의 산불이 실화와 소각 등 부주의로 인한 것으로 관심을 기울인다면 얼마든지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산불 피해 규모는 공익적 가치 8374억원, 복구 비용 2578억원, 입목피해 2030억원, 진화 비용 467억원 등 총 1조3452억원으로 추산된다.
kwj5797@fnnews.com 김원준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