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전기·가스·수도 28.3% 폭등… 5%대 고물가 장기화 예고 [여전히 불안한 물가]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5.2%
물가 9개월째 5% 이상 상승세
전기요금 인상에 상승 폭 커져
추경호 "당분간 높은 물가 지속"

전기·가스·수도 28.3% 폭등… 5%대 고물가 장기화 예고 [여전히 불안한 물가]
전년보다 사용량 줄었는데… 껑충 뛴 가스요금 2일 서울의 한 오피스텔에 가스 사용량과 가스 요금을 비교하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0.11(2020년=100)로 전년동월 대비 5.2% 상승했다. 1월 물가는 공공요금 인상 여파로 전기·가스·수도가 28.3% 폭등해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이후 최고치를 보였다. 뉴스1
전기·가스·수도 28.3% 폭등… 5%대 고물가 장기화 예고 [여전히 불안한 물가]
올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2%를 기록하며 고물가 흐름을 이어갔다. 상승 폭 또한 3개월 만에 확대됐다. 전기·가스·수도는 28.3% 폭등해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1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0.11(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5.2% 상승했다.

이는 전월 상승률(2022년 12월·5.0%)보다 0.2%p 확대된 것이다. 물가상승 폭이 전월보다 확대된 것은 지난해 9월 5.6%에서 10월 5.7%로 오른 이후 3개월 만이다.

■전기료, 물가상승 부추겨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1월 물가상승 폭 확대는 전기료 상승 영향이 컸다"며 "물가는 연초 제품·서비스 가격이 오르는 영향으로 1월 상승 폭이 큰 편"이라고 말했다.

물가는 지난해 5월부터 9개월째 5% 이상 상승세를 이어갔다. 품목별로 보면 농축수산물이 1.1%, 공업제품이 6.0% 올랐다. 농축수산물 중 양파(33.0%), 오이(25.8%), 파(22.8%) 등이, 공업제품 중 경유(15.6%), 빵(14.8%), 등유(37.7%) 등이 각각 많이 올랐다.

전기·가스·수도는 28.3% 상승해 별도로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4·7·10월에 이어 올해 첫달에도 전기요금이 인상된 여파다. 전기료가 29.5%, 도시가스가 36.2%, 지역난방비가 34.0% 올랐다.

잇따른 공공요금 인상에 전체 물가상승률에 대한 전기·가스·수도의 기여도는 지난해 7월 0.49%p, 10월 0.77%p, 지난달 0.94%p로 점점 커지고 있다.

가공식품은 10.3% 올라 전월(10.3%)과 상승률이 같았다. 이는 2009년 4월(11.1%) 이후 최고치다. 개인서비스 상승률은 5.9%로 전월(6.0%)보다 둔화하는 흐름이 지속됐다. 외식이 7.7%, 외식외 개인서비스가 4.5% 올랐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5.0% 올라 전월(4.8%)보다 상승 폭이 확대됐다. 이는 2009년 2월(5.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물가 당분간 고공비행 예고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최근 수출부진 지속 등 실물부문의 어려움이 확대되고 물가도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아 한시도 긴장의 끈을 늦출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인상에 따른 국내외 금융시장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22년 6월 9.1%까지 상승했지만 지난해 12월 6.5%로 14개월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추 부총리는 "지난 한 해 유례없이 가파른 속도로 금리를 인상했던 연준이 통상적인 금리인상 폭으로 속도를 조절한 것"이라며 "시장은 이번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로 불확실성이 다소 해소된 것으로 해석하며 오늘 새벽 국제금융시장은 안정적인 모습이었다"고 평가했다.


올 들어 우리 금융시장도 정부의 시장안정 노력과 주요국 통화긴축 속도조절 기대 등으로 변동성이 완화되고 있다. 다만 최근 수출부진 지속 등 실물부문의 어려움이 확대되고 물가도 당분간 높은 수준이어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아 한시도 긴장의 끈을 늦출 수 없는 상황이다.

미국의 향후 금리 경로에 대한 연준과 시장 인식차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어서 정부 부문별 컨틴전시플랜에 따라 적기에 대응하는 최적의 정책조합을 정교하게 모색한다는 게 정부의 대응전략이다.

lkbms@fnnews.com 임광복 홍예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