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차관칼럼] 우리아이 맞춤형 교육·돌봄 '늘봄학교'

[차관칼럼] 우리아이 맞춤형 교육·돌봄 '늘봄학교'


대다수의 맞벌이 부모는 자녀가 방과 후에 누구와, 어디에서, 무엇을 해야 할지 고민이 클 것이다. 20여년 전만 해도 학교를 마친 초등학생들이 동네 놀이터에 삼삼오오 모여 놀면서 시간을 보내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었다. 지금은 맞벌이 가정 증가, 핵가족화 등 양육환경 변화에 따라 부모가 자녀를 직접 돌볼 수 없는 시간이 늘어나고, 저출생 심화로 아이 한 명 한 명이 그 어느 때보다 소중한 시대가 됐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대응해 교육부는 지난 1월 9일, 교육과 돌봄에 대한 국가책임을 강화하기 위한 '늘봄학교'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초등학교 방과후 프로그램을 확대·내실화하고, 아침돌봄·틈새돌봄·저녁돌봄 등 돌봄 서비스를 다양화하면서 학교의 업무부담은 덜 수 있도록 방과후 업무체계를 개편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올해 3월 새 학기부터 5개 시도교육청, 200개 학교에서 시범운영하는 것을 시작으로 우수모델을 단계적으로 확산해 2025년까지 전국으로 늘봄학교를 확대해 나가고자 한다.

최근 행정안전부 통계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전체 초등학생 약 267만명 중 39%인 105만명이 맞벌이 가정의 학생인 것으로 밝혀졌다. 같은 기간 방과후 프로그램과 돌봄교실에 참여한 학생은 약 145만명으로, 한부모 등 돌봄이 필요한 다양한 가정 형태까지 고려하더라도 꽤 많은 학생이 방과후 프로그램과 돌봄교실을 이용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여전히 학부모가 느끼는 불편은 크다. 유명 공연 티켓을 예매하듯이 아이가 원하는 방과후 프로그램 신청을 위해서는 일명 '클릭전쟁'을 해야 하고, 과밀학교에서는 돌봄교실이 부족해 부모가 어쩔 수 없이 복직을 미루거나 돌봄교실을 대체할 학원을 알아봐야 하는 경우가 다반사이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이번 '늘봄학교 추진방안'을 통해 교육과 돌봄을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방과후 프로그램과 돌봄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 또한 학생들이 선호하는 예체능, 체험활동 외에도 인공지능(AI), 코딩 등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역량을 위한 프로그램도 민간과 협력해 대폭 확대한다. 공간이 부족해 학교 안에서 돌봄 수요를 해결하기 힘든 과밀학교는 인근 학교와 함께 방과후 프로그램과 돌봄을 통합 제공하는 거점형 늘봄학교 모델을 추진한다.

우리나라에서 방과후학교와 돌봄교실 정책이 도입된 지 어느덧 20여년이 지났다. 우리의 미래인 아이들에게 보다 나은 교육과 돌봄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학교 안팎의 공간이 아이 중심으로 유연하게 활용되어야 하고, 방과후 프로그램과 돌봄인력의 양적 확대뿐만 아니라 질적 수준도 함께 높여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늘봄학교 운영 시 학교와 교원이 관련 업무를 모두 떠맡지 않도록 강사 선정부터 강좌 개설, 각종 회계처리까지 방과후 업무체계를 기존 학교 단위에서 교육청 단위로 끌어올렸다. 올해 120명의 전담 공무원도 시도교육청에 추가 배치했다.

학생에게 다양한 교육 경험을 제공하고, 학부모의 돌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늘봄학교가 이름과 같이 '아이들에게 늘 봄처럼 따뜻한 학교'가 될 수 있도록 학교뿐 아니라 지역사회, 국가 차원에서 함께 힘을 모아야 할 때이다.

장상윤 교육부 차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