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발 밑의 안전 지킨다'...광주광역시, 지하 안전 관리 강화

지하 안전 관리계획 수립 및 지하안전팀 신설

'발 밑의 안전 지킨다'...광주광역시, 지하 안전 관리 강화
광주광역시가 지반 침하 사고 예방을 위해 '2023년 지하 안전 관리계획'을 수립해 추진한다. 사진=광주광역시 제공

【파이낸셜뉴스 광주=황태종 기자】광주광역시가 지반 침하 사고 예방을 위해 '2023년 지하 안전 관리계획'을 수립해 추진한다.

7일 광주시에 따르면 이번 계획은 '지하 안전 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지하 안전 분야 전문가들의 자문을 거쳐 마련됐다.

광주시는 5개 자치구와 상수도사업본부, 광주환경공단, 광주도시철도공사, 한국전력공사, 해양에너지, KT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 체계적인 지하 안전 관리 확립에 앞장선다는 방침이다.

시가 마련한 '2023년 지하 안전 관리계획'은 △지하시설물 안전 관리 통합체계 구축 △지하 안전사고 예방체계 마련 △체계적인 지반침하 관리 등 3대 추진전략을 담고 있다.

광주시는 3대 전략 추진을 위해 공동(空洞) 조사 협력체계를 단계적으로 구축하고, 지하시설물 관리자의 정기 안전점검 이행 여부 관리, 지반침하 발생 데이터베이스(DB) 구축 등을 지속 관리할 계획이다.

광주시는 앞서 지난 1월 도로과에 지하 안전 분야 총괄 관리 전담팀인 '지하안전팀'을 신설했다. 이 팀은 지하시설물에 관한 조사(GPR탐사)·관리를 일괄 추진하고, 예산 중복 사례 방지, 지반 침하 예방 및 대응체계 강화 등을 맡는다.

특히 지난해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라 지하개발사업 및 지하시설물 설치·관리 시 안전 확보 의무가 더욱 강화된 만큼 광주시가 컨트롤타워가 돼 지하 안전 관리 통합체계 강화 및 선제적 관리로 보다 안전한 도로환경을 확보할 계획이다.

백남인 광주시 도로과장은 "지반 침하 사고는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사고 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와 사고 발생에 대비한 만반의 준비가 필요하다"면서 "안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지하안전팀을 중심으로 지하 안전 관리계획을 적극 추진해 지반침하 사고 예방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8월 강원도 양양군에서 깊이 5m 크기의 싱크홀이 발생해 주변 편의점 건물이 무너졌다. 앞서 2021년 8월 대구시에서는 깊이 7m 크기의 싱크홀이 생기면서 일대 가로등이 파손됐다. 이들 사고는 모두 땅 밑에 지하 공동(空洞·빈 공간)이 만들어지면서 지반이 무너진 것으로 확인됐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