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분투자와 M&A 통해 신약개발 몸집 키운다
강력한 시너지 기반으로 신약 성공 가능성 높여
유한양행의 지분투자, 코로롱제약 합병 사례 등
경영진 쇄신 기업, M&A 지분투자 가능성 커져
[파이낸셜뉴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적극적 지분투자와 인수합병(M&A) 통한 신약개발 경쟁력 확대에 분주하다. 오랜 시간과 엄청난 비용이 드는 신약개발 과정에서 한 기업의 노력과 연구개발(R&D)만으로는 속도를 내기 쉽지 않다. 따라서 지분투자와 M&A 등 적극적인 방식을 통해 '개발의 몸집'을 키우고 협력 시너지를 끌어올려 신약개발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데 주목하고 있는 것이다.
■지분투자와 M&A "신약개발 경쟁력 높여라"
10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유한양행은 지난 5일 프로젠의 최대주주 지분을 확보하는 300억원 규모의 투자계약을 체결했다. 프로젠은 다중 표적 항체 기반 플랫폼 기술을 보유한 기업으로 유한양행은 지난해 9월 바이오 혁신 신약 개발을 위한 연구 협력 업무협약(MOU)를 맺은 바 있다.
이중항체를 이용하면 단일항체 대비 효능이 좋으면서 독성이 적은 의약품 개발이 가능하지만 다양한 인자를 인식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개발이 어렵다. 프로젠의 다중표적 단백질 치료제 플랫폼 기술은 면역조절 단백질 신약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유한양행은 이번 투자를 통해 '렉라자'의 뒤를 잇는 신약을 개발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유한양행은 이같은 투자 방식으로 지난해 9월에는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연구개발기업 에이투젠의 1대 주주가 됐다. 이 기업은 대사성질환, 면역질환, 근육질환을 치료하는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를 개발하는 기업이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올해 글로벌 1000억달러가 넘는 시장을 형성할 유망 시장이다. 양사는 마이크로바이옴 건강기능식품은 물론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유한양행 관계자는 "회사의 경영권을 인수하는 형식의 M&A가 아닌 지분투자 방식을 통해 신약 개발 경쟁력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코오롱제약도 지난달 29일 플랫바이오와 합병을 통해 항암 신약개발 기업으로의 도약을 밝혔다. 코오롱제약은 코오롱그룹의 의약품 계열사로 제네릭 의약품, 개량신약 개발을 해왔고 지난해 매출이 1000억원을 돌파했다. 플랫바이오는 지난 2018년 설립 이래 항암 신약개발을 지속해 60여개의 특이 표적을 발굴, 항암제를 개발하고 있다.
플랫바이오와의 합병을 통해 새롭게 출범하는 코오롱제약은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기반으로 신약개발의 시너지를 높이는데 주력할 계획이다. 합병법인은 시너지 효과 극대화를 위해 각자대표로 운영된다. 제약부분은 전재광 코오롱제약 대표가 맡고 신약개발 부문은 플랫바이오 창업주인 김선진 대표가 이끌게 된다.
■업계 전반, M&A 카드 '만지작'
제약바이오업계에서 지분투자와 M&A가 한창인 가운데 경영진 쇄신을 통해 이같은 카드를 만지작거리는 기업들도 많다.
2년 만에 경영 일선으로 복귀한 서정진 셀트리온 명예회장은 4조~5조원의 '실탄'을 가지고 글로벌 M&A를 노리고 있다. 셀트리온 10개 정도의 후보군 중 대상을 검토하고 있고 연말이나 내년 M&A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휴젤은 최근 차석용 전 LG생활건강 부회장을 회장 및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했다.
휴젤이 글로벌 시장에서 보툴리눔 톡신으로 지속적으로 성장을 하고 있는 가운데 영입된 차 회장은 과거 28건의 M&A를 성공시킨 M&A의 귀재로 불리고 있다는 점에서 휴젤의 차기 M&A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GC셀 역시 지난 2월 새 대표로 제임스 박 전 삼성바이오로직스 부사장을 내정해 새롭게 진용을 꾸렸다. 박 대표는 그동안 100건 이상의 의약품 공정개발 및 품질관리(CMC) 분야 실사에 참여해 라이선스 인&아웃 및 M&A 등 사업개발 활동을 벌여왔기 때문에 경쟁력 확보를 위한 행보가 주목되고 있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