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치매 돌봄제 종합 대책' 마련한 전남도...광역 최초 60세 이상 치료비 지원

2025년까지 976억 투입 12개 사업 추진

'치매 돌봄제 종합 대책' 마련한 전남도...광역 최초 60세 이상 치료비 지원
전남도가 매년 증가하는 치매 가족의 고통과 부담 경감을 위해 '전남형 치매 돌봄제 종합 대책'을 마련, 오는 2025년까지 976억원을 투입해 예방, 치료, 돌봄, 교육연구 등 4개 분야 12개 사업을 중점 추진한다. 사진은 치매 관리 프로그램인 안심마을 운영 모습. 사진=전남도 제공

【파이낸셜뉴스 무안=황태종 기자】전남도가 내년부터 광역 지자체 최초로 60세 이상 전 도민을 대상으로 치매 치료비를 지원한다.

전남도는 매년 증가하는 치매 가족의 고통과 부담 경감을 위해 '전남형 치매 돌봄제 종합 대책'을 마련, 오는 2025년까지 976억원을 투입해 예방, 치료, 돌봄, 교육연구 등 4개 분야 12개 사업을 중점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전남도에 따르면 전남의 노인인구 비율은 25.2%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 치매 유병률 또한 12.19%로 전국 평균(10.38%)을 웃돌고 있다.

전남 치매환자 수 및 관리 비용 역시 지난 2018년 4만7000명, 9640억원에서 2020년 5만1000명, 1조400억원으로 증가했다.

이에 전남도는 치매 전문가·가족, 현장 종사자 등 다양한 의견을 반영해 '전남형 치매 돌봄제 종합 대책'을 수립했다.

먼저, 치매 예방을 위해 치매 조기 검진을 대폭 확대한다. 치매 고위험군인 경도장애 4000명, 인지 저하 1만명, 75세 진입자 2만1000명 등 총 3만5000명을 1년 주기로 조기 검진한다. 또 60세 이상 일반 관리군 54만3000명을 3년 주기로 추진한다.

치매 조기 검진은 시·군 보건소 치매안심센터를 방문하면 받을 수 있다. 거동이 불편한 주민을 위해 경로당, 노인복지관 등 찾아가는 치매 조기 검진도 추진하고 섬 주민을 위해 병원선에 치매 검진센터도 운영할 방침이다.

치매 조기 검진 인원수는 코로나 이전 연간 10만명 이상이었으나 코로나 대응 기간인 2020년부터 2022년에는 7000명대로 줄었다.

전남도는 특히 현재 정부 정책으로 중위소득 120% 이하 대상으로 지원한 치료비 지원 대상을 전국 최초로 오는 2024년부터 60세 이상 전 도민으로 확대해 치료비 부담 완화를 지원한다. 진료비와 약제비를 월 3만원까지 연간 최대 36만원을 지원한다. 병원 약제비 영수증을 보건소에 제출하면 지원받을 수 있다.

아울러 치매 돌봄 강화를 위해 치매 전담형 노인 요양 시설, 치매 안심 병원을 확충한다. 또 치매 환자가 살던 곳에서 안심하고 자유롭게 살도록 치매 안심마을 125곳을 지정할 계획이다. 체계적인 돌봄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치매 안심 관리사를 210명으로 확대 양성한다.

치매 환자와 가족의 상담·치유를 위해 장흥통합의료병원과 연계한 마음건강 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실종 대응 체계 구축 등 지역 공동체와 함께하는 다양한 방안도 마련했다.

이 밖에 치매 치료와 예방·기술·연구개발을 위한 국립 치매 연구소 설립 및 유치에 나서기로 했다.
장성 국립심뇌혈관연구소와 연계해 뇌질환 분야 연구 및 정책 개발 핵심부로 육성할 방침이다. 오는 7월 타당성 연구용역을 하고 2025년 국가 신규 사업 반영을 보건복지부에 건의할 계획이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했던 어르신이 치매로부터 자유롭고 품위 있는 삶을 살도록 지원하는 것은 사회적 책무"라며 "치매 환자와 그 가족이 고통과 부담의 굴레에서 벗어나도록 '전남도가 가족'이란 마음으로 종합적인 지원 체계를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