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용산시대 1호 약속 지킨 尹대통령 "어린이들 마음껏 뛰어놀 수 있기를"

용산어린이정원 개방

용산시대 1호 약속 지킨 尹대통령 "어린이들 마음껏 뛰어놀 수 있기를"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 미군기지 반환부지에 조성된 용산어린이정원으로 어린이들과 함께 입장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축사에서 "청와대를 국민 품에 돌려드리고, 이곳으로 대통령실을 옮겨온 취임 당시의 그 마음을 다시 새기게 된다"고 밝혔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은 4일 용산어린이정원에 대해 "어린이들이 건강하고 즐겁고 행복한 공간이 되도록 계속 가꿔 나가겠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어린이정원 입구(신용산역 1번 출구 인근)에서 개최된 용산어린이정원 개방행사에서 "대통령으로서 무엇보다 어린이들을 위해 우리 미래의 꿈나무인 어린이들을 위해 더 열심히 노력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번 행사는 한-미 SOFA협상을 거쳐 부분 반환된 용산기지를 용산어린이정원으로 재탄생시켜 국민들에게 개방하는 것을 기념하는 행사로, 전국에서 초청된 어린이가족과 일반국민을 포함해 관계부처 장관, 국회의원 등 약 200명이 참석했다.

윤 대통령은 "초록이 짙어지는 계절에 용산어린이 정원 문을 열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구 청와대를 국민 품에 돌려드리고, 이곳으로 대통령실을 옮겨온 취임 당시의 그 마음을 다시 새기게 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3월 당선인 기자회견을 통해 "용산 대통령 집무실 주변에 수십만 평 상당의 국민 공원공간을 조성해 임기 중 국민과의 소통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으며 올해 3월에도 "미래세대의 주역인 우리 아이들에게 정원을 빨리 돌려주기 위해서 속도감 있게 업무를 추진해달라"고 지시한 바 있다.

이번 용산어린이정원 개방을 통해 국민 속으로 더 가까이 다가가겠다는 윤 대통령의 약속이 지켜졌으며, 대통령실은 앞으로도 미래세대를 위한 공간을 가꾸고 국민과의 소통 접점도 더 늘려나갈 계획이다.

윤 대통령은 "용산기지는 20세기 초에 일본이 강제 수용한 뒤에 120년 동안 외국군의 주둔지였고 우리 국민이 드나들 수 없는 곳이었다"며 "20년 전 한미 간에 기지 이전을 합의했지만 반한 속도가 매우 더뎠다. 그러나 작년 5월 대통령실이 이전하면서 반환 속도가 빨라졌고 여러분들의 노고로 잘 준비해서 어린이들을 위한 정원으로 다시 탄생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우리나라에는 미래의 꿈나무인 어린이들이 마음껏 뛸 수 있는 그런 넓은 잔디밭이 하나 제대로 없다"며 "그래서 이곳 넓은 잔디밭과 주변 시설을 어린이들을 위한 공원으로 조성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 부부는 이날 행사에서 어린이들에게 풍선을 선물하고 함께 기념 촬영하며 즐거운 추억을 선사했다.
아울러 참가자들과 함께 정원을 산책하고 페이스 페인팅, 마술쇼 등 준비된 공연을 관람 했다.

한편, 윤 대통령 부부는 용산어린이정원 개방행사 이후 정원 내 위치한 전망언덕을 찾아 정원 개방을 기념하는 식수행사를 가졌다. 식수목은 애국가 속 나무이자 국민들이 사랑하는 나무인 소나무로 선정됐다.

syj@fnnews.com 서영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