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언어별 답변엔 차이
일어로 '다케시마' 영유권 묻자
日에 우호적 내용으로 바꿔 대답
한자 명칭엔 중립적 태도 취해
구글 바드에 '다케시마(일본이 주장하는 독도명)는 누구 땅인가'라고 일본어로 물었을 때 답변(위 사진). 일본해에 있는 예로부터 일본 실효에 있는 섬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한국어 답변(아래 사진)과는 내용이 다르다. 사진=김경민 기자
【파이낸셜뉴스 도쿄·서울=김경민 특파원 박종원 기자】 구글이 10일(현지시간) 자체 인공지능(AI) 챗봇 '바드'의 한국어 서비스를 시작한 가운데 한국과 관련된 질문에도 구체적이며 최신 정보로 답했다. 특히 독도와 관련해서는 "대한민국의 고유 영토"라고 분명하게 답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날 바드에 독도가 어느 국가의 영토인지 물어 보니 "대한민국의 영토"라고 답했다. 바드는 "일본이 독도를 다케시마라고 부르며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지만 역사적·법적 근거가 없다"며 "현재 한국이 독도를 실효 지배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반면 바드보다 먼저 서비스를 시작한 미국 오픈AI의 챗GPT는 같은 질문에 다른 의견을 보였다. 챗GPT는 "독도는 한국의 영토"라고 답했으나 "일부 국가에서는 여전히 독도에 대한 주권 문제에 반발하고 있고 아직 해결되지 않은 상태"라고 답변했다.
아울러 바드는 일본의 강제징용이 사실이냐는 질문에 "사실이다"라고 답하며 "강제징용은 일본의 반인도적 범죄"라고 반응했다. 챗GPT는 같은 질문에 "일본의 강제징용은 역사적 사실이다"라고 설명하면서 "일본은 강제징용에 여러 차례 사과하고 배상을 제안하거나 지원금을 지급하기도 했지만 이는 해결책으로 인정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또한 바드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부자가 누구냐는 질문에 지난해 미국 경제지 포브스의 집계 결과를 인용해 김범수 카카오 의장을 꼽았다.
반면 챗GPT는 포브스의 2021년 집계를 언급하며 삼성전자의 이재용 회장을 언급했다. 포브스가 지난달 발표한 집계에 따르면 올해 대한민국에서 가장 돈이 많은 사람은 세계 5대 사모펀드로 꼽히는 MBK파트너스의 김병주 회장이었다. 현재 챗GPT의 경우 무료버전은 2021년까지 학습한 정보로 답변하고 있으며 유료버전은 최신 정보를 반영하고 있다.
바드는 챗GPT에 비해 주관적으로 보이는 표현을 자주 사용했다. 바드는 한국의 역사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달라고 요청하자 "한국의 역사는 유구하고 풍요롭다"고 답하면서 역사의 시작을 고조선부터 설명했다. 챗GPT도 고조선부터 역사를 설명했으나 사실 중심으로 각 시대를 서술했다.
양쪽 AI 모두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가수로 "방탄소년단(BTS)"을 언급했고 이외에도 빅뱅, 2NE1, 2PM 등을 나열하며 비슷한 답변을 내놨다.
한편 바드는 언어에 따라 답이 다르게 나타났다.
일본이 주장하는 독도명인 '다케시마'(竹島)로 같은 질문(竹島は誰の領土か)을 하자 답변은 일본에 우호적인 내용으로 바뀌었다. 바드는 "다케시마는 일본해 울릉도 동쪽 약 250㎞에 위치한 작은 섬"이라고 소개하며 "옛날부터 일본의 실효 지배하에 있었지만 1952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이 체결되면서 일본은 다케시마를 포함한 모든 도서를 포기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바드는 "한국은 다케시마가 자국 영토라고 주장하며 1952년 이후 다케시마 주변에서 일본 어선과 해상보안청 선박에 방해행위를 하고 있다"면서 "현재 다케시마는 일본이 실효 지배하고 있으나 한국도 영유권을 계속 주장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독도( 島)로 한자 명칭을 바꿔 다시 '독도는 누구 땅인가'( 島は誰の領土か)라고 일본어로 물어보니 바드는 "독도는 일본의 고유 영토라는 일본 정부의 주장과 한국의 고유 영토라는 한국 정부의 주장이 있다"고 중립적인 자세를 취했다.
바드는 "독도의 영유권 문제는 일본과 한국 사이의 역사적·정치적·지리적 문제가 복잡하게 얽혀 있어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라며 "양국 간 영유권을 둘러싼 긴장의 불씨"라고 기술했다.
pjw@fnnews.com 박종원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