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

신장이식 후 평생복용하는 면역억제제...중단 가능성 열려

신장이식 후 평생복용하는 면역억제제...중단 가능성 열려
서울성모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오은지 교수, 신장내과 정병하·이한비 교수(왼쪽부터).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제공

[파이낸셜뉴스] 신장이식은 말기 신부전 환자에게 가장 이상적인 치료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이식된 신장이 우리 몸 면역체계로부터 공격받지 않기 위해 평생 면역억제제를 복용해야 한다. 이에 따른 문제로 감염, 악성종양, 당뇨병, 고지혈증, 신독성을 유발해 환자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중요한 원인이 될 수 있다.

18일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은 신장을 이식받은 환자의 혈액검사로 면역억제제를 중단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고 전했다.

서울성모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오은지 교수팀은 면역관용 환자 4명의 혈액 검체를 단일세포 분석법을 이용해 연구했다. 그 결과 면역관용 환자는 면역억제제를 복용하는 환자 혹은 거부반응 발생 환자와 면역 세포 분포와 유전자 발현 양상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면역억제제를 소량 혹은 복용하지 않더라도 거부반응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인 '면역 관용' 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신장이식 환자에서 중요하다. 하지만 면역 관용을 보이는 환자는 극히 드물다. 이에 해당되는 환자의 면역세포 및 유전체 특성을 정확히 확인하기 위한 연구는 아직도 진행중이다.

연구팀 분석 결과 면역세포인 미성숙 B세포와 조절 T세포가 면역관용 환자에서 증가돼 있는 것을 확인했다. 추가 분석한 결과 면역관용 환자의 B세포에서 면역반응과 연관된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돼 있는 것을 확인했다. 또 면역관용 환자의 조절 T세포에서 CCR6 유전자 발현이 증가돼 있음을 확인했다. 이는 거부반응을 유발하는 효과 T세포를 억제하는 기능과 연관돼 있다. 이 결과들은 면역관용 환자의 면역세포에서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쪽으로의 유전자 발현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기존 연구에서 주목 받던 B세포와 T세포 외에도 NK 세포와 NKT 세포가 면역관용 환자에서 증가돼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선천면역세포도 면역관용에 기여한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오 교수는 “신장이식환자의 면역관용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밝히기 위한 연구는 많았지만 단일세포 분석법으로 상관관계를 규명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공동 책임연구자인 신장내과 정병하 교수는 “향후 진료 현장에서 신장을 이식받은 환자의 혈액검사로 면역억제제를 중단할 수 있는 가능성을 선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camila@fnnews.com 강규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