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매체 연구개발(R&D)와 혁신 종합보세구역은 중국에서 처음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베이징=정지우 특파원】중국의 수도 베이징에 반도체 등 집적회로 산업을 핵심으로 하는 종합보세구역이 들어선다. 연구개발(R&D)과 혁신 중심의 종합보세구역 설치는 중국에서 처음이다. 보세구역이 세금 등에서 우대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반도체 자립’를 위한 또 다른 조치로 이해된다.
1일 중국 경제주간지 경제망 등에 따르면 장거핑 베이징 해관총서장(관세청장) 지난달 30일 중관춘 포럼의 ‘주요 과학·기술성과 특별 발표회’에서 베이징 중관춘 종합보세구역이 국무원 정식 승인을 받아 설치됐다고 밝혔다.
국무원은 중국 최고 국가행정기관이고 중관춘은 정보통신(IT) 기업 단지다. 종합보세구역은 중국에서 개방 수준이 가장 높고 우대 정책이 많다. 국내 화물이 종합보세구역 안으로 들어오면 수출로 간주해 세금을 환급해 주고 구역 내 상품 거래에 부가가치세와 소비세를 부과하지 않는다.
또 종합보세구역 안에서 물품을 검사하면 수출 항구에서 다시 상자를 열 필요가 없다. 기존 보세구역, 보세물류 단지, 수출가공구역 등 기능을 통합해 보다 개방적으로 기능을 바꿨다.
2023년 2월 기준 중국에 156개의 종합보세구역이 있지만 R&D와 혁신에 방점이 찍힌 곳은 처음 설치된다고 매체는 전했다. 2022년 국가종합보세구역의 수출입액은 6조5600억위안(약 1217조원)으로 국가 전체 수출입액의 15.6%를 차지한다.
중관촌 종합보세구역은 베이징 자유무역시험구 과학기술혁신 구역 내에 위치하며, 건축 규모는 66만3500㎡(지상)에 달한다. 아울러 종합사무기능구역, 검사기능구역, R&D설계기능구역, 시험서비스기능구역, 물류서비스구역 등 모두 5개 구역으로 나눠진다.
집적회로와 인공지능, 기술 서비스, 의료·건강 산업이 핵심이며 본사경제(다국적기업·국내 대기업 본사를 밀집시켜 자본, 기술, 인재 등의 영향력을 주변 지역으로 확산하는 경제 형태), 국경 간 전자상거래, 디지털 문화, 금융 임대, 고급 소프트웨어 서비스 아웃소싱 등으로 산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베이징 하이뎬구 판공실 종리칭 전임 부주임은 “국가 혁신 이미지를 대표하는 디지털 스마트 종합보세구역으로 만들 계획”이라며 “현재까지 41개의 프로젝트와 54개의 예비 프로젝트가 이 지역에 포함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앞서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지난달 29일 ‘2020년 부가가치세 가산 공제 정책의 혜택을 받는 집적회로 기업 목록 작성 요건에 관한 통지’(초안)를 내고 자국 내에 설립된 반도체 등 집적회로 기업에게 부가가치세를 추가 공제해 주기로 했다.
중국은 ‘14차 5개년 계획’에서 반도체 등 집적회로를 7대 중점 과학기술 연구 항목에 포함했고, 2025년까지 자국 반도체 자급률을 7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중국 반도체 시장조사기관 시노리서치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중국(대만 포함) 반도체 프로젝트 투자 규모는 1조5000억위안(약 279조7000억원)에 달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