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트럼프, 복귀 안한다더니 결국 트위터 기웃...대선 준비

美 악시오스, 관계자 인용해 트럼프가 트위터 복귀 검토중이라고 전해
대선 홍보 위해서는 압도적인 팔로워 보유한 트위터 필요
추가 기소 등 악재 발생시 무마 용도로 트위터 복귀 카드 꺼낼 듯
페이스북, 유튜브 등은 이미 복귀

트럼프, 복귀 안한다더니 결국 트위터 기웃...대선 준비
지난해 12월 19일 미국 워싱턴DC 하원에서 진행된 의회 난동 조사 청문회 가운데 사건이 발생했던 2021년 1월 6일 당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트윗이 표시되고 있다.AFP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내년 미국 대선을 앞두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복귀중인 도널드 트럼프 미 전 대통령이 가장 왕성한 활동을 보였던 트위터에 복귀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트럼프는 자체 SNS를 세운 이후 트위터에 돌아가지 않는다고 밝혔지만 대선 홍보를 위해 생각을 바꾼 것으로 추정된다.

미 온라인 정치매체 악시오스는 28일(이하 현지시간) 관계자를 인용해 이같이 전하며 최근 여러 형사 사건에 기소된 트럼프가 지지율 반등을 위해 결국 트위터로 돌아간다고 추정했다.

관계자는 트럼프 대선 캠프가 만약 추가 기소같은 악재가 생길 경우 트럼프의 트위터 복귀를 통해 이를 무마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동시에 트위터 복귀가 매우 극적으로 이뤄진다고 예상했다.

앞서 트위터와 유튜브, 페이스북은 지난 2021년 1월 6일에 트럼프 지지자들이 의회에 침입한 직후 트럼프가 SNS를 통해 지지자들의 과격 행동을 부추긴다며 그의 계정을 정지했다. 트럼프는 이후 자체 블로그를 운영하다 직접 SNS를 만들었다. 그는 트럼프미디어앤드테크놀러지그룹(TMTG)을 세우고 지난해 2월에 자체 SNS인 ‘트루스소셜’을 출범했다.

트위터는 지난해 10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에게 회사가 넘어간 이후 약 1개월 뒤에 트럼프 계정을 복원했다.

트럼프는 지난해 11월 19일 화상 연설에서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대해 "트위터에 복귀할 이유가 없다"며 "트위터는 많은 문제가 있고, 여러분도 지켜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는 트위터가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며 트위터 복귀에 회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트럼프의 입장은 같은달 2024년 대선 출마를 선언하면서 달라졌다. 트럼프의 팔로워는 트루스소셜에서 약 500만명이지만, 트위터는 8700만명, 페이스북은 3400만명에 달한다. 트럼프가 대선 모금운동을 하려면 SNS를 통한 홍보활동이 반드시 필요하다.

관계자는 트럼프가 하원에서 의회 난동 청문회가 끝난 시점인 지난해 12월에 트위터 복귀를 진지하게 검토했고, 트럼프 캠프에서 복귀 트윗 초안까지 작성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트럼프는 트루스소셜에 잔류하기로 결정했다. 이후 트럼프는 계정이 복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년 6개월 가까이 자신의 트위터를 방치하고 있다.

다만 트럼프는 트위터를 제외한 다른 SNS에 먼저 복귀했다. 앞서 메타는 지난 2월 9일 트럼프의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계정이 복구됐다고 확인했다.

메타의 닉 클레그 글로벌 업무 담당 사장은 당시 "국민은 투표함에서 정보에 입각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좋고 나쁜 것에 관계없이 정치인들이 말하는 것을 들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유튜브 역시 지난 3월 17일에 트럼프의 계정을 복구했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같은날 자신의 페이스북과 유튜브 계정에 “내가 돌아왔다!(I'M BACK!)”이라는 글과 함께 2016년 대선 승리 당시 뉴스 영상을 공유했다. 트럼프는 영상에서 "기다리게 해서 미안하다. 상황이 복잡하다"고 말했다. 그는 유튜브에도 같은 영상을 올렸다.

우파 법률 단체인 아티클3 프로젝트의 창립자이자 트럼프 측근인 마이크 데이비스는 악시오스를 통해 "트럼프가 다시 트위터를 위대하게 만들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나는 대선 경선이 가열되기 전에 트럼프가 트위터를 다시 시작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데이비스는 “트럼프는 사업 관점에서 자신의 트루스소셜에 머무는 것이 현명하겠지만 정치적인 관점에서는 트위터에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악시오스는 현재 트럼프의 트루스소셜 게시글 중 본인이 직접 작성하는 것은 절반도 되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pjw@fnnews.com 박종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