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전력화 시작…기체 방염 처리·보조연료탱크 등 장착
軍 '파생형 헬기' 개발 박차… "해군 및 해병대 전력 증강 보탬"
[파이낸셜뉴스]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마린온'. 사진=한국항공우주산업 제공
방위사업청이 29일 해병대 상륙작전의 핵심 전력인 MUH-1 '마린온' 상륙기동헬기의 전력화가 시작 7년 만에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마린온은 상륙함으로부터 해병대 병력과 장비를 수송하는 입체적인 상륙작전뿐만 아니라 지상 작전 지원을 위한 공중강습, 도서 지역 국지도발 시 신속 대응 등의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이날 방위사업청과 '마린온' 제작사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에 따르면 마린온은 지난 2013~15년 체계개발을 거쳐 2016년부터 최근까지 총 30여대의 전력화가 진행됐다.
마린온은 해상 및 함상에서 운용이 쉽도록 특화돼 있으며, 기체 방염 등 부식방지 기술이 적용됐다.
지상 또는 함정 기지국과 통신을 위한 장거리 통신용 무전기, 비행 거리 증대가 가능한 보조연료탱크 등의 장비도 장착돼 있다.
마린온은 국내에서 개발한 한국형 기동헬기 '수리온'을 해병대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조한 기체다. 2013∼2015년 체계개발을 완료했고 2016년부터 전력화를 진행했다.
마린온은 국내 기술로 두 번째 개발한 헬기로 운영 유지 비용 등에서 장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 당국은 마린온을 기반으로 한 상륙기동헬기와 소해(掃海)헬기 등 파생형 헬기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KAI는 마린온에 이어 지난해 10월부턴 무장형인 상륙공격헬기 개발에도 본격 착수했다. 오는 2026년 체계개발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는 상륙공격헬기는 총 24대가 만들어질 예정이다.
상륙공격헬기는 앞서 소형무장헬기(LAH) 개발을 통해 그 성능을 입증한 최신 항전·무장체계를 비롯해 국산 헬기 최초로 공중전에 대비한 공대공유도탄이 탑재될 것으로 알려졌다.
방사청은 또 함정들의 안전한 항해를 위해 '바닷속 지뢰'인 기뢰 등 위험물을 제거하는 해군의 공중 소해전력을 확보하기 위해 오는 2026년 체계개발 완료를 목표로 지난해 12월 KAI와 3477억원 규모의 '소해헬기 체계개발 사업' 계약을 맺었다.
군 당국은 이후 2030년까지 해군에 소해헬기대대를 창설하고 계획한 헬기 물량을 전력화한다는 방침이다.
앞으로 이들 헬기 개발이 모두 완료될 경우 우리나라의 주요 항구·해상교통로를 보호할 수 있는 핵심 무기체계로 해병대와 해군 전력 증강에 상당한 보탬이 될 것으로 군 당국은 기대했다.
김용대 방사청 헬기사업부장은 "국내에서 개발한 상륙기동헬기는 군이 요구하는 성능을 충족함은 물론, 낮은 운영유지 비용이 장점"이라며 "상륙공격헬기 등 파생형 헬기를 개발하고 있으며, 향후 상륙기동헬기의 성능도 지속해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마린온'. 사진=방위사업청 제공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