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데이터로 농사짓는 1029개 '스마트농가'...정부지원 체계도 AI로 구축

<3>데이터기반 스마트농업 활성화
데이터 기반 스마트농업 모델 본격화
농정원 디지털혁신본부, 기반 조성 나서
차세대 농림사업정보시스템(AgriX) 구축


데이터로 농사짓는 1029개 '스마트농가'...정부지원 체계도 AI로 구축
반도체 센서를 이용한 4세대 스마트팜./뉴스1 ⓒ News1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정보통신기술(ICT)과 농업의 융·복합이 새로운 시너지를 일으키고 있다. 다년간 누적해온 공공과 민간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농가 개개인의 경험을 뛰어넘을 수 있는 농업 활동을 가능하게 만들고 있다.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도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데이터기반 스마트농업 확산 지원사업’ 확산에 나섰다. 생산성 향상, 비용 절감 등 농업 현장에서 농업인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데이터 기반 솔루션의 농가 적용과 기술 서비스 고도화가 목표다. 농가 직불금 지원도 ‘농림사업정보시스템'(AgriX)을 통해 구축한 AI기반 데이터분석체계를 통해 검증과 지급이 이뤄질 전망이다.

공공·민간 합작 컨소시엄...데이터·기술 공유

11일 농정원에 따르면 ‘데이터기반 스마트농업 확산 지원사업’의 혜택을 받는 농가는 1029개로 28개 컨소시엄이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각 컨소시엄은 스마트팜, ICT, 솔루션 개발, 데이터 분석, AI 개발 등 관련 기업과 50호 내외의 농가를 합친 '데이터 공동체'다.

지난해 본 사업에 참여한 기존 5개 컨소시엄에 올해 신규로 23개 컨소시엄을 확정했다. 신청 기간 동안 58개 컨소시엄이 접수하며 선정 범위의 두 배가 넘는 호응을 이끌어냈다. 올해 확정된 신규 컨소시엄은 각각 3억4000만원의 사업비 가운데 2억3500만원의 국비지원을 받는다. 총 사업비 6600만원 가운데 4600만원의 국비지원을 받던 기존 컨소시엄에 비해 지원 규모도 크게 늘어났다.

농정원은 농림축산식품부와 지난 6월 26일 착수 보고회 및 사업 오리엔테이션을 추진했다. 현장에서 참여기업이 숙지해야 하는 주요사항을 안내하고, 분야별(시설, 노지, 축산) 5개 서비스를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노지분야에서 96개 농가와 컨소시엄을 이루고 있는 '긴트'는 양파, 벼, 콩 등 재배에 데이터 기반 커넥티드 자율주행 농기계와 원격 농기계 관리 기술을 보급하고 있다. 전 세계 농업 생산량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노지농업 분야에 있어 농기계의 무인·자동화를 전파하는 것이 목표다.

데이터로 농사짓는 1029개 '스마트농가'...정부지원 체계도 AI로 구축
김영현 긴트 대표이사가 모바일을 통한 자율주행 시스템을 시연하고 있다. /사진=데이터기반 스마트농업 확산 선도사례집
농기계의 위치, 상태, 자율주행 경로 관리, 작업 일지 등을 클라우드 시스템에 저장해 농기계 활용 관련 데이터 관리와 원격 서비스에 활용하고 있다. 김용현 긴트 대표이사는 "데이터가 모여 분석이 진행되면 시기별, 토양별, 작목별 맞춤 작업 추천 서비스로도 확장 가능하다"며 "데이터 기반 농업을 적극적으로 실행하면 초보 농부일지라도 숙련된 농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작년 시설 원예 분야 서비스로 참여한 ‘컬티랩스’는 50개 농가에 ‘디지털 재배관리를 위한 AI 기반 생육측정 및 온라인 컨설팅(의사결정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작업·생산·경영을 포함한 비정형 자료를 디지털화해 ‘컬티데이터’(데이터 통합 모니터링)와 ‘컬티그로쓰’(생육지표를 수집·분석) 시스템을 개발했다.

김창근 컬티랩스 대표이사는 “스마트폰 촬영만으로 데이터를 자동 측정할 수 있고 농가의 데이터 기반 농업 접근성이 크게 늘어났다”며 “농가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진단하고, 통합서비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해 추후 매출 목표, 작물 유형, 생육 필요 자원 등의 데이터를 의사결정에 반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컬티랩스는 ‘농장 내 발생되는 비정형자료의 디지털화 및 정형데이터와의 비교분석’이라는 새로운 서비스로 사업에 참여해 40개 농가에 서비스를 보급할 예정이다. 관리시간 절약을 통해 농업인이 작물관리에 집중함으로써 노동시간도 단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농업행정도 디지털 전환...AgriX로 직불금 관리
전통적인 대면 방식의 농업 행정도 디지털 대전환을 앞두고 있다. 직불금을 비롯한 정부 지원 사업 현황을 제공하는 농림사업정보시스템(AgriX)도 지난 6월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2026년까지 차세대 시스템 구축에 나선다. 2005년 도입을 시작했지만 크게 확대된 농림 사업 규모와 데이터에 대비해 관리 한계 직면과 노후화를 방지하는 취지다. 2017년 기준 143개 사업에 6조3000억원 수준이었던 농식품부 국고보조금은 2021년 기준 168개 사업에 8조1000억원으로 4년만에 29% 가까이 늘어났다.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인 ‘식량주권 확보와 농가 경영안정 강화’ 달성을 위해 농업 직불제 예산은 5조원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데이터로 농사짓는 1029개 '스마트농가'...정부지원 체계도 AI로 구축
AgriX 사업 안내 서비스 개편 전후 비교 /사진=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농정원은 ‘차세대 농림사업 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해 직불금 신청을 소화할 방침이다. AgriX는 농지대장을 기반으로 보조금·영농자재 등 지원 이력을 분석해 시스템 내 실경작자 검증 체계를 구축한다.
농업인의 마이데이터도 종이서류 제출 간소화 등 농업행정 전과정 디지털화를 추진한다.

이종순 농정원장은 "스마트폰의 보편화로 우리 일상에 큰 변화가 촉진된 것처럼 우리 농업도 스마트기술과 연계해 혁신을 이루고 있다"며 "농정원은 스마트농업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 기업 등을 적극 발굴하고 지원해, 데이터로 무장한 농산업이 차세대 농경제의 핵심으로 성장토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농업인 대상 모바일 맞춤서비스와 농림사업 전과정을 디지털화하기 위한 차세대 농림사업정보시스템 또한 농정원의 미래 역점 사업”이라며 “고품질 데이터의 생산, 활용을 촉진해 농업과 농식품 산업의 혁신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