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아프리카에 우리 벼 심는다… 韓 농업기술로 식량난 해결

K-라이스벨트 구축 첫발
농식품부, 8개국과 협력 MOU
2027년 다수확 종자 1만t 목표
인프라 지원하고 전문인력 파견

아프리카에 우리 벼 심는다… 韓 농업기술로 식량난 해결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오른쪽 세번째)이 10일 오전 서울 서초구 JW메리어트호텔서울에서 열린 '아프리카 K-라이스벨트 농업장관회의'에서 아프리카 8개국 농업장관들과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공동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시스
아프리카 지역의 쌀 생산 증진에 우리 농업기술과 종자가 활용될 전망이다. 아프리카 기아문제 해결을 위한 한국형 쌀 생산벨트(K-라이스벨트) 구축 사업이 8개국과의 업무협약(MOU)을 맺으며 본격 출범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0일 서울에서 아프리카 8개국의 장관을 초청하고 'K-라이스벨트 농업장관회의'를 열어 장기적인 국제협력체계를 구축하는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참석한 8개국은 가나, 감비아, 기니, 기니비사우, 세네갈, 우간다, 카메룬, 케냐 등이다. 회의에는 각국 장관급 대표와 신디 매케인 유엔 세계식량계획(WFP) 사무총장(영상), 케빈 우라마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부총재 등 해외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

이번 사업은 쌀 생산량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아프리카 국가들에 한국의 녹색혁명 경험 공유를 통해 기아 종식(SDG 2)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올해 벼 종자 2000t 생산을 시작으로 2027년부터 연간 다수확 벼 종자 1만t을 생산·보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연간 약 3000만명에 달하는 아프리카 국민에게 안정적으로 식량이 공급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농식품부는 MOU 체결 국가 내 각각 50~100㏊ 규모의 안정적인 벼 종자 생산단지를 구축하고 농촌진흥청을 통해 벼 전문가 파견 등 기술지도도 병행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경지정리, 경작로 등 생산인프라 조성을 지원하고, 사업효율성을 고려해 이미 인프라가 구축된 부지도 사업지로 고려할 예정이다. K-라이스벨트 사업에는 총 8000만달러(약 1000억원)가 투입된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축사를 통해 세계 식량안보에 한국이 적극 기여하겠다는 메시지와 함께 아프리카와의 미래지향적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은 개회사에서 K-라이스벨트 사업으로 아프리카의 식량난을 실질적으로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아프리카 8개국 대표는 K-라이스벨트 사업이 단순한 자금제공을 넘어 한국의 경험과 기술을 전수받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아프리카 자립을 목표로 하는 사업으로서 차별화되는 의미를 지닌다는 평가다. 뎀바 샤발리 감비아 농업부 장관은 "앞서 대한민국 정부가 보급한 품종인 '이스리-7'의 경우 감비아에서 굉장히 인기가 있다.
수율이 높아 농민들이 아주 좋아한다"며 "한국 쌀을 도입하는 것에 대해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마무두 나냘렌 바리 기니 농업축산부 장관도 "기니에서는 앞서 이스리 품종을 학교 급식에 사용하기도 했다"며 "K-라이스벨트를 통해 (쌀) 생산성을 더 향상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수출까지 바라볼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기대를 나타냈다. 정 장관은 "직접 아프리카를 다녀오면서 구상한 K-라이스벨트 사업이 여러 차례의 실무단 현장 방문, 8개국과의 집중적인 협의를 거쳐 정식 출범하게 됐다"고 말했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