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천영우 이사장 “유사시 대비 핵무장 능력은 확보해야..비핵화, 사망신고 안했을 뿐”


천영우 이사장 “유사시 대비 핵무장 능력은 확보해야..비핵화, 사망신고 안했을 뿐”
북핵 및 국제안보 관련 전문가들로 구성된 한반도미래포럼(이사장 천영우)이 12일 서울 종로구 아산정책연구원에서 주최한 공개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열띤 토론을 벌이고 있다. 사진=김윤호기자

[파이낸셜뉴스] 북한이 또 다시 탄도미사일 발사 도발을 한 12일 안보 관련 전문가들로 구성된 한반도미래포럼은 서울 종로구 아산정책연구원에서 '북한 핵무장 고착화와 대한민국의 선택'이란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패널들은 견고한 한미동맹을 한 층 더 두텁게 하는 한편 독자적 핵무장 실현은 현실적이지 않지만 만일을 대비해 능력은 확보해야 한다는 제언을 내놔 눈길을 끌었다.

신각수 전 외교부 차관은 “오늘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고각 발사했다. 위협의 정도는 능력 면에서 사실상 핵무장 국가가 되는 9부 능선을 넘었다고 본다. 남은 건 ICBM(대륙간탄도미사일)의 실거리 실험과 재진입 기술 확인, 100기 이상의 핵탄두 확보 정도”라면서 “결국 30년 동안 추구해온 비핵화 기회의 창이 거의 닫혀가고 있는 것 같다. 남은 건 억지와 방어”라고 짚었다.

"워싱턴선언, 하드웨어 변화는 없지만 한미 핵 논의 위협으로 소프트웨어 차원 신장"

본격적인 토론에선 우선 지난 4월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 채택한 워싱턴선언 이후 한미 확장억제에 대해 분석했다. 핵협의그룹(NCG) 창설을 통한 미 핵무기 공동기획·실행에 대해 ‘소프트웨어’ 차원의 발전이 이뤄졌다는 평가다.

박철균 전 국방부 국제정책차장은 “핵을 쓸 때 한국에 최대한 정보를 제공하겠다는 선언적 정책은 조건과 상황에 따라 미국이 핵을 쓸 수 있다는 걸 공개하는 것”이라며 “적이 핵을 사용할 때에만 핵을 사용하겠다는 신념을 가져온 바이든 대통령이 동맹국을 위해 신념을 저버린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미 확장억제를 발전시켜 미 핵무기를 활용한 확실한 응징보복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정홍용 전 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본부장은 “북핵에 대한 최선의 거부 방법은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며 북한이 핵을 사용할 경우 가장 효과적인 대응은 핵으로 응징 보복하는 것”이라며 “동맹의 핵을 이용한 응징보복이 군사적 대책으로 고려돼야 하고, 동맹인 미국과의 협력은 국내 정치 환경과 정치·외교적 역량에 따라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봤다.

천영우 "北 핵사용 손익구조 역전 가능성..다만 핵무장은 사후약방문"
이처럼 한미 확장억제가 발전했다는 평가와 함께 허점도 지적됐다.

이명박 정부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을 역임했던 천영우 한반도미래포럼 이사장은 “핵 공격으로 잃는 것이 얻는 것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손익 구조에서 핵 억지가 작동하는데, 북한은 핵 사용의 손익구조가 역전될 가능성이 있는 유일한 핵무장 집단”이라며 “핵 사용으로 잃을 게 없어지거나 오히려 생존 연장에 도움이 된다고 김정은이 판단하는 순간부터 억지력 작동은 정지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정은을 위해 주민들을 희생할 수 있기에 ‘망하더라도 핵을 사용하고 망하겠다’는 특유의 손익구조로 억지가 실패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천 이사장은 그럼에도 독자 핵무장이 대안이 되긴 어렵다고 분석했다. 그는 “북한은 핵 선제 사용이 가능하나 문명국가는 할 수 없다는 게 현실이라 억지가 실패하면 응징보복용으로만 사용 가능한 ‘최고의 사후약방문’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천 이사장은 다만 만일을 대비하기 위해 핵무장 능력은 보유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는 “한미동맹이 건재하는 한 독자 핵무장은 안보적 부가가치가 제한적”이라면서도 “불확실한 동맹의 미래에 대비해 농축능력은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 이사장은 이어 핵무장에 나서면 한반도 비핵화 목표가 무너진다는 지적에 대해선 “한반도 비핵화는 이미 죽었고, 사망신고를 정식으로 하지 않은 것뿐”이라며 “한반도 비핵화는 죽은 걸로 간주하고 안보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uknow@fnnews.com 김윤호 기자
uknow@fnnews.com 김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