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 유럽 등에서 극단적인 폭염 기승
장마철 시작된 아시아에서는 폭우 쏟아져
4년 만에 찾아온 엘니뇨와 열돔 현상으로 이상기후, 지구온난화 영향
지난 9일 인도 히마찰프라데시주 쿨루에서 한 시민이 홍수로 불어난 강물을 보고 있다.AP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올해 지구 북반구에서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되면서 미주와 유럽, 중국 북부에서 기록적인 폭염이 나타나는 가운데 일본과 인도 등에서는 폭우가 쏟아지고 있다. 기상 전문가들은 지구온난화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주기적으로 찾아오는 '엘니뇨'가 겹치면서 이상기후 현상이 극단적으로 증폭됐다고 분석했다.
폭염·폭우 동시에
영국 BBC는 15일(이하 현지시간) 보도에서 지난달부터 폭염에 시달리고 있는 남부 유럽의 기온이 다음주면 사상 최고치에 이른다고 예고했다. 이탈리아 보건부는 15~16일 주말에 동안 로마 등 16개 도시에 적색경보를 발령했다. 현지 언론은 사르데냐섬의 기온이 다음주 섭씨 48도 안팎까지 오른다고 추정했다. 폭염은 19∼23일 사이 이탈리아뿐 아니라 그리스, 튀르키예, 발칸 반도 등에서 최고조에 이를 전망이다. 스페인과 프랑스, 독일, 폴란드 등에서도 폭염이 이어지고 있으며 지난 13일 유럽 최북단 노르웨이 감비크의 기온은 59년 만에 가장 높은 28.8도에 달했다.
대서양 건너편도 마찬가지다. 캐나다에서는 올해 들어 폭염과 가뭄 속에 산불이 지속되고 있으며 15일 기준으로 906곳의 숲이 아직도 불타고 있다. 미국 기상청(NWS)은 14일 예보에서 캘리포니아주를 비롯한 서부해안에서 플로리다주를 포함한 남부해안까지 폭염의 영향권에 들었다며 "최소 9300만명이 폭염 경보와 주의보 아래에 놓여 있다"고 밝혔다. 지구상에서 가장 더운 곳으로 꼽히는 캘리포니아주 데스밸리의 기온은 16일 기준 53도까지 오를 전망이다.
그러나 장마철에 접어든 지역에서는 폭우가 쏟아지고 있다. 중국에서는 이달 초 베이징 인근 북부에 40도가 넘는 폭염이 닥쳤지만 충칭 등 남서부에는 폭우가 쏟아졌다. 일본에서도 이달 도쿄에서는 열사병 환자가 속출하는 가운데 남서부 규슈 지역에는 폭우로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우기가 시작된 파키스탄과 인도에서도 홍수 피해가 이어졌다. 12일 외신 보도에 따르면 수도 뉴델리가 속한 인도 델리주 당국은 뉴델리를 지나가는 야무나강 수위가 위험 수준을 넘어섰고, 약 2000만명이 사는 델리주와 인접 지역이 물에 잠겼다고 밝혔다. 이날 야무나강 인근 주민들은 자전거나 트랙터에 짐을 싣고 당국에서 마련한 약 2500개의 구호 캠프로 대피했다.
인도 기상청(IMD)에 따르면 지난달 1일부터 우기가 시작되면서 델리 인근 주에서 기록적인 비가 쏟아졌다. 펀자브주와 히마찰프라데시주의 강우량은 평균 대비 각각 100%, 70% 더 많았다. 델리주의 강우량도 지금까지 평균 대비 112% 이상을 기록했다.
15일(현지시간)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한 시민이 더위를 피해 분수의 물을 맞고 있다.EPA연합뉴스
엘니뇨·열돔 현상 겹쳐, 지구 온난화 영향
전문가들은 올해 기상이변의 원인 중 하나로 우선 엘니뇨를 지목했다. 엘니뇨는 동태평양 수온이 평년보다 5개월 이상, 0.5도 이상 올라가면서 서태평양의 온도는 내려가는 자연적인 현상으로 보통 2~7년 주기로 반복된다. 올해 엘니뇨는 4년 만에 찾아왔다. 엘니뇨가 발생하면 기본적으로 지구 표면 온도가 올라가 폭염 가능성이 높아지고 덩달아 증발하는 바닷물의 양이 늘어나면서 대기 중에 수증기가 많아진다. 그 결과 폭우 가능성도 함께 올라간다.
문제는 올해 엘니뇨가 심상치 않다는 것이다. 올해는 이달 기준으로 동태평양의 온도가 평년 대비 3~4도 이상 올라갔다. 외신들은 온도 차이가 2도를 넘어서면 이른바 '슈퍼 엘니뇨'라고 묘사한다. 게다가 올해는 서태평양 온도 역시 0.5~1도 올라가면서 태평양 전체가 뜨거워지는 이상 현상이 나타났다.
동시에 지구온난화도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 NWS는 미 남서부의 고기압이 15~16일 강하게 유지되면서 기록적인 고온 현상을 일으킨다고 예측했다. 이러한 고기압은 '열돔(Heat dome)' 현상을 일으킨다. 열돔 현상은 지상 5~7km 높이 대기권과 성층권 사이에서 찬 공기와 따뜻한 공기를 섞어주는 제트기류가 약해지면서 대기권에 발달한 고기압이 정체되는 상황이다. 정체된 고기압은 반구형 지붕처럼 작동해 지열로 뜨거워진 공기가 한 곳에 머무르게 만든다. 보통 중위도 지방에서는 열돔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제트기류가 이를 밀어내지만 최근 지구온난화로 제트기류가 마비되면서 열돔이 정체되고 있다.
미 펜실베이니아 주립대의 마이클 만 대기과학과 교수는 CNN 인터뷰에서 "폭우나 홍수 같은 건 원래 일어나는 일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문제는 기후변화가 그러한 자연현상을 극단적으로 가속한다"고 지적했다. 만은 제트기류가 적도와 극지방의 온도차이로 발생한다며 지구온난화로 극지방의 온도가 오르면서 제트기류가 움직이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pjw@fnnews.com 박종원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