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사라진 ‘러브버그’..빈자리 ‘모기’에게 넘겼나 "98% 늘었다"

사라진 ‘러브버그’..빈자리 ‘모기’에게 넘겼나 "98% 늘었다"
지구 온난화로 여름이 길어지면서 불청객 모기의 활동 기간도 길어졌다. 특히 올해는 모기가 급증하는 장마철이 예년보다 길어 모기에 물리기 쉬운 아이들은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배포한 말라리아 모기의 2014년 흡혈장면 사진. 미국 플로리다주와 텍사스주에서는 최근 20년만에 말라리아에 걸린 환자가 5명이 발생해 CDC가 6월 26일 주의보를 발령했다.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지난달 서울 서북권을 시작으로 순식간에 시내 전역을 뒤덮었던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가 짧은 생애주기와 거센 장맛비를 이기지 못하고 대부분 사라졌다.

25일 국립생물자원관에 따르면 러브버그의 경우 암컷이 최장 1주일, 수컷은 3일가량 산다.

생물자원관측은 “6월15일 최초 민원 보고부터 약 2∼3주간 러브버그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다”며 “러브버그는 1년에 한 번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 내년에 다시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작년의 경우 러브버그가 7월 초순부터 1주일간 집중적으로 나타났지만 올해는 6월 중순부터 차례로 출몰하다가 6월 하순부터 7월 초순 사이 자취를 감췄다.

러브버그는 사라졌지만 한숨 돌릴 새도 없이 이제는 모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25일 질병관리청의 ‘권역별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 현황’에 따르면 7월 2∼8일 전국 도심·철새도래지의 모기 트랩지수는 87.5개체로 평년(2018∼2022년)보다 12.8% 감소했지만 전년보다 83.7% 증가했다.

트랩지수는 모기 유인 포집기(트랩) 한 대에서 잡힌 모기 개체 수를 뜻한다.

도심으로 범위를 좁히면 트랩지수는 68.2개체로 평년보다 10.2%, 지난해보다는 98.5% 늘었다.

종별로는 도심에 주로 서식하는 빨간집모기의 트랩지수가 48.1개체로 평년보다 57.1%, 작년에 비하면 121.5% 폭증했다.

40년간 모기를 연구해온 이동규 고신대 보건환경학부 교수는 연합뉴스에 “폭우로 하천이 범람하면 모기 유충도 쓸려가기 쉽지만 빨간집모기의 경우 정화조나 하수도, 지하실에 살기 때문에 영향을 적게 받는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또 “모기는 폭염에 약한데 최근에는 흐리고 비 오는 날이 많아 모기가 살기 좋은 환경이 됐다”고 했다.

이달 들어 24일까지 서울시가 모기 활동지수를 가장 높은 ‘불쾌’로 예보한 날은 모두 20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2일보다 8일 많았다.


지구온난화로 모기가 살기 좋은 환경이 됐다는 분석도 있다.

서울대 생명과학부 진화·계통유전체학 연구실 관계자는 “예전에는 장마에만 비가 왔다면 한반도가 아열대성 기후로 변해 비가 자주 오고 있다. 모기가 서식할 수 있는 물이 고인 환경이 많이 조성됐다”고 말했다.

moon@fnnews.com 문영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