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0.25%p 올리며 격차 최대
수출부진·물가 변수에 인상 부담
한미 금리차가 2%p로 확대되면서 오는 8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선택에 관심이 쏠린다. 미국 통화정책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한미 금리차에 따른 환율 변동성 확대, 가계부채 누증 등이 고민이다. 물가상승률과 경기상황을 고려할 때 한은이 금리차에도 불구하고 금리를 인상하긴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26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하면서 미국(5.25~5.50%)과 한국(3.50%) 간 금리차는 또다시 최대치를 경신했다. 연준은 9월 이후 금리를 올릴지에 대해서는 모호한 태도를 보였다.
이승헌 한국은행 부총재도 이날 시장상황 점검회의에서 "연준의 금리결정이 데이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걸 재차 확인한 만큼 앞으로도 통화정책 방향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런 상황에 8월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5회 연속 동결할지, 추가 인상을 단행할지 관심이 모아진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 종가 대비 3.4원 내린 1271.1원에 거래를 시작했다. 장 초반 1260원대를 오가던 환율은 전일 대비 3.2원 오른 1277.7원에 장을 마쳤다. 외환당국은 금리차 확대에 따른 자본유출 우려에 선을 그었다. 이날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내외 금리차 확대 전망에도 외국인 투자자금은 금년 들어 22조원 이상 순유입이 지속됐고, 환율도 주요국 통화가치 흐름 등을 반영해 안정적인 모습이다. 외화자금시장 역시 양호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은에서는 가계부채 누증도 고려해야 한다.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은 4월 이후 상승세로, 6월에는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5조9000억원 늘었다.
1년9개월 만의 가장 큰 폭 증가다. 한국은행에서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현재 103%에서 중장기적으로 80%까지 떨어져야 한다고 보고 있다.
다만 수출경기 부진, 금융안정 리스크 등을 고려할 때 금리인상은 쉽지 않다는 관측이다.
dearname@fnnews.com 김나경 박문수 송경재 이창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