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일본 여행 취소·불매운동… 中에 부는 거센 '反日 감정'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후폭풍
중국, 日수산물 수입 4% 불과
수입금지 조치로 역효과 우려
日, 중국 내 일본인 주의 당부

일본 여행 취소·불매운동… 中에 부는 거센 '反日 감정'
일본의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방류 둘째 날인 지난 25일 오전 중국 베이징 징선수산시장 입구 모습.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베이징=정지우 특파원】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방류 후폭풍이 중국에서 거세게 일고 있다. 반일 감정이 격화되면서 일본행 여행 취소가 잇따르고 온라인을 중심으로 불매운동을 독려하는 글도 나온다. 다만 중국의 일본산 수산물 수입금지는 자국 수산업에 타격을 주는 역효과를 낼 것이라는 우려도 한쪽에서 제기된다.

■일본 여행 취소·불매운동

27일 제일재경 등 중국 매체와 외신에 따르면 씨트립과 퉁청, 투뉴, 뤼마마 등 중국 내 유력 온라인여행 플랫폼 웹사이트의 일본 여행 홍보 메뉴가 그동안 눈에 잘 띄던 종전 위치에서 내려왔고, 일부 고객이 예약을 취소하는 일도 벌어지고 있다.

중국의 한 대형 여행사 관계자는 "최근 며칠간 일본 단체여행 취소를 잇따라 접수했다"며 "당초 국경절(10월 1일) 연휴 기간 일본에 갈 계획이었던 일부 고객은 관망세로 돌아서 곧장 주문을 넣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 10일 한국·미국·일본 등 세계 78개국에 대한 자국민의 단체여행을 전면 허용했다.

중국 최대 연휴 중 하나인 국경절을 맞아 관광업이 활기를 되찾을 가능성이 점쳐졌다. 이를 위해 온라인여행사들은 인기 여행지인 한국과 일본 등을 전면에 배치하며 예약을 받았다.

그러나 일본의 오염수 방류 개시 후 중국 내 다수의 여행사에서 향후 마케팅, 특히 국경절 기간 상품 판매 전략에 대한 조정이 생길 수 있는 것으로 응답했다고 제일재경은 전했다.

일본 여행 홍보 수준을 잠시 낮추거나 아예 일본 여행 관련 마케팅이 중단될 가능성도 고려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신 여행 플랫폼은 독일이나 영국, 북유럽 등 여행 노선 홍보에 들어갔다.

한 여행사 최고경영자(CEO)인 장즈닝은 "핵 오염수 해양 방류가 안전 문제를 유발하면서 중국 여행객의 일본 여행 예약이 대폭 줄어든 것"이라며 "앞으로 상당히 긴 시간 동안 일본 여행 경제에는 중국 여행객의 감소로 인한 위축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일부 누리꾼들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중심으로 일본 상품 불매 운동을 호소하는 움직임을 보이는 등 오염수 방류를 계기로 중국 내 반일감정도 격화되고 있다.

■중국내 일본인 '주의보'

일본 교도통신은 중국 내 반일 감정이 고조되면서 중국 소재 일본 대사관과 영사관이 자국민에게 주의를 당부하고 경계 태세 강화에 나섰다고 보도했다.

주중 일본대사관 측은 "외출할 때는 일본어를 큰 소리로 말하지 말고 신중한 언동에 유의해 달라"며 "대사관을 방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대사관 주변 상황에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요청했다.

반면 중국이 수입금지 조치를 취했으나 일본에 큰 타격을 줄 수 없으며, 오히려 자국 수산업에 위축시킬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외신은 중국 세관 자료를 인용, 지난해 중국이 수입한 일본 수산물은 중국 전체 수산물 수입에서 4% 미만인 188억달러(약 25조원)에 그쳤다고 밝혔다. 중국의 최대 수산물 수입국은 에콰도르이며 러시아, 베트남, 인도가 그 뒤를 잇는다.

그러면서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전면 수입 금지는 소비자들의 수산물 소비 심리 자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게 중국 수산업들의 지적이라고 부연했다.


쑤저우의 컨설팅회사 BRIC농업정보기술은 24일 보고서에서 "대중의 수산물 소비 의향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해안 도시 수산 시장의 교통량이 떨어지고 수산물 판매가 둔화하며 가격이 하락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으로 '불똥'이 튈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현지 상황을 잘 아는 중국인 소식통은 "한국이 수입한 일본 상품을 중국으로 다시 수출하는 경우에도 방사선 검사를 실시하고 관련 서류를 요구하는 등 일본과 똑같은 조치를 준비 중이라는 얘기가 있다"면서 "중국 상무부와 해관총서(관세청)가 대상 상품 리스트까지 만들고 있으며, 일부 작은 지방은 이미 시작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주장했다.

jjw@fn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