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

SK팜테코, 글로벌 ‘CGT 위탁생산개발’ 도약

관련종목▶

美 CBM 경영권 확보

SK의 의약품 위탁생산개발(CDMO) 자회사 팜테코가 미국의 세포·유전자치료제(CGT) CDMO인 CBM를 인수했다. 이번 인수를 바탕으로 SK팜테코는 미국과 유럽에서 합성의약품과 바이오의약품을 모두 생산하는 선도 CDMO로의 도약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SK는 SK팜테코를 통해 CBM 경영권을 확보했다고 20일 밝혔다. SK팜테코는 지난해 1월 미국 내 바이오 사업 강화를 위해 CBM에 3억5000만달러(약 4200억원)를 투자했으며, 당시 확보한 추가 투자 권리를 이번에 행사해 경영권을 확보했다.

SK팜테코는 CBM의 2대 주주에서 1대 주주로 올라섰다. SK팜테코는 CBM 인수로 전세계 의약품 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미국·유럽 양대 시장에서 합성의약품과 세포·유전자 치료제 모두를 아우르는 현지 공급망을 완성했다.

미국과 유럽에서 두 의약품 분야의 공정 개발·상업 생산이 모두 가능한 CDMO는 SK팜테코 외 세계적으로 5개 정도에 불과하다. SK팜테코는 지난 2021년 프랑스 세포·유전자 치료제 CDMO 이포스케시를 인수하며 유럽 생산 거점을 확보한 바 있다.

시장조사업체 이밸류에이트파마에 따르면 세포·유전자 치료제 분야는 2021년 약 74억7000만달러(약 10조원) 규모에서 2026년 약 555억9000만달러(약 74조원) 규모로 연평균 약 49%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기존 의약품 대비 복잡한 개발 과정으로 인해 개발사와의 근접성은 CDMO 선정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CBM은 세포·유전자 치료제 단일 생산시설 기준 세계 최대 규모인 6만5000㎡의 시설을 건설중이다. 이중 약 2만8000㎡를 완공해 우수 의약품 제조·관리 기준(GMP) 바이럴 벡터 시설과 개발·분석 연구실을 운영하고 있다. CBM이 미국 펜실베니아주 세포·유전자 치료제 특화 바이오클러스터인 셀리콘밸리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 또한 빠른 성장을 기대하게 하는 요소다.

강중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