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 부산 남구 용호동에서 바라본 일본 대마도.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도쿄=박소연 기자】 부산에서 직선거리로 약 50㎞ 떨어져 있는 일본 나가사키현 쓰시마섬(대마도)이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유치 작업을 중단하기로 했다.
교도통신과 현지 공영방송 NHK 등에 따르면 히타카쓰 나오키 쓰시마시장은 27일 시의회에 출석해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선정을 위한 정부 문헌조사에 응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앞서 쓰시마 시의회는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선정 작업의 첫 절차인 문헌조사를 수용해 달라는 지역 단체의 청원을 지난 12일 채택했으나, 최종 결정권자인 히타카쓰 시장이 이를 뒤집었다.
당시 시의회 투표에서는 찬성 10표, 반대 8표로 의견이 갈렸다.
히타카쓰 시장은 이날 문헌조사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은 데 대해 "시민들의 합의 형성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쓰시마섬의 주요 산업인 수산업과 관광업에 '소문(풍평) 피해'가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언급하고 "한국인 관광객의 감소 등에 큰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일본에서 소문 피해는 통상적으로 근거 없는 소문이 확산해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지칭한다.
2018년에 쓰시마섬을 방문한 한국인은 41만 명으로, 전체 관광객의 75%를 차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쓰시마의 인구는 2020년에 3만명 선이 붕괴해 2만8000여명 정도다.
2000년 인구가 4만1000여명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20년 만에 30% 줄었다.
쓰시마 상공회 등은 문헌조사를 수용하면 교부금 20억엔(약 180억원)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내세워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유치를 위한 논의를 시작했다.
하지만 어민들을 중심으로 반대 목소리가 나오면서 섬 여론은 양분됐다.
psy@fnnews.com 박소연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