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시중銀 회복되는데 지방銀 '잠잠'...장기 유동성 두고 '온도차'

지방은행 순안정자금조달비율 평균 107%
4분기 연속 올라 112%된 시중은행과 대조
관리 하한선은 100%지만 비율 높이려면
특판, 장기채권 발행 필요해 비용↑ 불가피

시중銀 회복되는데 지방銀 '잠잠'...장기 유동성 두고 '온도차'
사진=뉴스1

시중은행 및 지방은행 순안정자금조달비율 평균
(%)
2019년 4분기 2022년 2분기 2022년 3분기 2022년 4분기 2023년 1분기 2023년 2분기
4대 시중은행 113.50 106.62 106.77 110.54 110.36 112.41
6개 지방은행 111.70 106.61 105.26 106.74 105.97 107.35
(금융감독원)


[파이낸셜뉴스]시중은행과 달리 지방은행은 장기 자금 조달 상황이 더디게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장기 유동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순안정자금조달비율(NSFR) 평균이 코로나19 이전인 지난 2019년 4·4분기 대비 낮아진 채 유지되고 있다. 지난해 2·4분기부터 꾸준히 수치가 상승 추세인 시중은행과 대비된다. NSFR이 낮아지면 은행들은 장기 채권 발행, 장기 예금 조달 등 길게 운용할 자금을 유치하는 데 힘을 쏟게 된다.

29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 2·4분기 6개 지방은행(BNK부산·경남·DGB대구·JB전북·광주·제주)의 NSFR 평균은 107.35%로 집계됐다. 직전 분기(105.97%) 및 전년 동기(106.61%)와 비교했을 때 각각 1.38%p, 0.74%p 오른 수치다. 느리게 높아지고는 있지만 분기별로 봤을 때 상승과 하락이 반복되고 있다.

NSFR은 은행이 1년 내 유출 가능성이 높은 부채를 충당할 수 있을 만큼 안정적인 자본 구조를 갖추고 있느냐를 가늠하는 지표다. 1년 내 현금화하기 어려운 '필요 안정자금 조달금액'을 1년 이내 이탈 가능성이 낮은 '가용 안정자금 조달금액'으로 나눠 산출한다. 단기 유동성 규제인 유동성커버리지(LCR) 비율과 함께 유동성 위기 대응 및 금융복원력 강화를 위해 도입됐으며, 은행들은 지난 2018년부터 NSFR을 100%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

은행별로 대구은행 NSFR 비율(112.04%)이 수치상으로 가장 높고 상승 폭도 컸다. 전 분기(107.39%) 대비 4.7%p, 전년 동기(107.90%p) 대비로는 4.14%p 올랐다. 같은 기간 경남은행(106.06%)과 전북은행(105.94%)도 1~2%p 가량 안정적으로 상승하는 흐름을 보였다.

반면 6개 지방은행 가운데 올 2·4분기 NSFR이 가장 낮은 부산은행(104.79%)의 경우 전 분기(104.79%)와 전년 동기(104.08%) 대비 각각 0.1%p, 0.71%p 높아지는 데 그쳐 상승 폭이 미미했다. 광주은행(109.89%)과 제주은행(105.39%)은 전년 동기(112.00%, 107.89%)와 비교해 오히려 수치가 2%p 넘게 떨어졌다.

이는 4분기 연속 NSFR이 뛰고 있는 시중은행과 대조된다. 시중은행 역시 지방은행과 같이 코로나19와 레고랜드 사태 등 각종 유동성 위기를 겪으면서 장기 유동성 지표가 악화한 바 있다. 코로나19 직전인 지난 2019년 4·4분기 113.50%였던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 NSFR 평균은 레고랜드 사태 직후인 지난해 3·4분기 106.77%까지 낮아졌다. 같은 기간 지방은행 NSFR 평균은 111.70%에서 105.26%가 됐다.

하지만 지난 2·4분기 4대 시중은행의 NSFR 평균은 다시 112.41%로 집계됐다. 직전 분기(110.36%)와 전년 동기(106.62%) 대비 각각 2.05%p, 5.79%p 회복됐다. 지난해 2·4분기(105.99%)와 비교했을 때 1년 새 7.19%p나 높아진 신한은행을 비롯해 일제히 4%p 이상 높아져 뚜렷한 개선세가 감지된다. 동일한 환경적 변화 속에서도 시중은행에 비해 지방은행이 그 효과를 적게 누리고 있는 셈이다.

이 같은 차이는 지방은행으로서 고금리 특판이나 장기 채권 발행에 더 적극적으로 임하게 하는 배경이 될 수 있다. 이미 시장금리가 오르며 채권 금리 및 수신 금리 상승이 추세적으로 나타나는 상황에 조달 비용을 더 끌어올리는 부담 요인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주택담보대출만 해도 만기가 30~40년인데, NSFR을 높이려면 장기 예금을 늘리거나 장기 채권을 발행해야 한다"며 "예금을 끌어오려면 금리를 더 주고 한시적으로 모집하는 특판 형태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했다.

seung@fnnews.com 이승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