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온관리능력 떨어지는 소아·노약자 특히 주의
말초혈관 확장시키는 음주 역시 위험
저체온증 대처법 |
산행시 저체온증 대처법 |
젖은 옷은 마른 옷으로 갈아입기 |
바람 피해 따뜻한 곳으로 이동 |
모자, 수건 등을 이용해 몸의 열기 유지 |
따뜻한 음료를 통해 수분 보충 |
카페인.알코올 섭취 금지 |
|
(대동병원, 에이치플러스양지병원, 고대안암병원) |
|
[파이낸셜뉴스] 일교차가 큰 환절기에는 감기에 걸리기 쉽다. 체온이 1℃만 떨어져도 면역력의 약 30%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몸에서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과정인 신진대사에 꼭 필요한 ‘효소’가 가장 활발하게 반응하는 온도는 36~37.5℃다. 정상체온인 36℃에서 1℃ 낮아진 35℃ 이하가 되면 ‘저체온증’으로 분류되며 이 경우 근육 경련이 오면서 근육통을 포함한 오한, 과호흡, 혈압증가와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저체온증은 일반인은 물론 만성질환자나 노약자에게 더 위험하다. 만성질환자는 혈관수축과 혈액순환에 문제가 있어 체온을 유지하는 기능이 일반인에 비해 떨어지고, 노인은 체지방이 상대적으로 적고 대사율이 떨어져 체온 유지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26일 의료진들은 가을철 산행, 캠핑 등 야외활동이 증가하는 가운데 자칫 생명을 앗아갈 수 있는 저체온증을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의식저하·사망까지 이를 수 있는 저체온증
저체온증이란 심부체온이 35도 미만으로 떨어진 상태를 말한다. 체온이 떨어지면 우리 인체 내 장기들은 기능에 심각한 악 영향을 받는다. 심장은 심박출량과 혈압이 떨어지고 악성 부정맥이 출현해 생명에 위험을 줄 수도 있다.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순환기내과 최규영 전문의는 “심혈관계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가 찬 공기에 노출되면 혈관 수축과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돼 혈압 상승, 심장과 혈관 부담이 증가해 심뇌혈관계 질환 위험이 높아진다”고 강조했다.
또 기관지 내 분비물은 추위로 인해 증가하는 반면 기침 반사 등의 폐기능은 감소돼 폐렴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추위는 혈관을 수축시키고 조직에서의 산소 이용 능력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콩팥을 비롯한 여러 장기의 기능을 악화시키고 혈액응고장애 등 전신적 악영향을 초래한다. 또 의식장애를 동반해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저체온증은 크게 세 단계로 나뉜다. △경증(32~35도)일 때는 몸 떨림과 인지장애 증상이 △중등도(28~32도)일 때는 몸 떨림이 감소하고 근경직, 부정맥, 의식 소실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체온이 28도 미만으로 감소해 중증 단계에 접어들면 심장이 정지하고 혼수상태 또는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전문가들은 고혈압, 고지혈증 환자들은 저체온증을 특히 주의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만성질환자나 노약자는 체온 유지 능력이 떨어져 저체온증에 걸릴 확률이 높고 기온 변화로 혈압이 상승해 부정맥,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뇌혈관 질환 위험도 증가하기 때문이다.
고대 안암병원 응급의학과 김수진 교수는 "저혈당, 당뇨병, 갑상선 기능저하증, 부신피질 기능저하증, 뇌경색, 뇌손상, 뇌종양 경력이 있는 환자들은 저체온증을 특히 주의해야 한다"며 "이처럼 체온 저하에 대한 저항에 약한 사람들은 추운 날씨에 가급적 외출을 삼가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전했다.
가을철 산행시 저체온증 예방하려면
가을 단풍철은 일교차가 심한 환절기다. 따뜻한 한낮, 가벼운 차림으로 산에 올랐다가 늦은 오후 기온이 하강하며 체온이 떨어지는 사례가 흔하다. 특히 50대 이후 근육량이 부족한 사람일수록 저체온증 발병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유의해야 한다.
산의 경우 일상생활 공간보다 낮 시간이 짧으므로 해가 더 빨리 질 것을 생각하고 일찍 산행을 시작해야 한다. 이후 일몰 예상시간 2∼3시간 전에는 등산을 마치도록 한다.
또 이 시기 산에는 낙엽이 많이 떨어져 있어 혹시 발생할지 모를 낙상사고를 예방하고 발을 보호하기 위해서 미끄럼 방지용 등산화를 착용해야 한다. 낙엽이 쌓인 곳 아래에 보이지 않는 울퉁불퉁한 돌이나 꺼진 지형이 있을 수 있으므로 보폭을 작게 해서 천천히 걷도록 하며 등산용 스틱 등을 이용해 확인 후 걷는 것도 방법이다.
일교차가 큰 가을에는 등산로 입구와 정상의 온도차가 클 수 있으므로 체온 유지를 위해 얇은 옷을 여려 개 겹쳐 입도록 하며 가급적 땀 흡수 등이 용이한 기능성 등산복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등산 전후로는 체온이 올라갈 정도의 스트레칭을 실시하도록 한다.
무리한 등산으로 땀을 많이 흘린 상태에서 젖은 옷을 입고 차가운 가을바람을 맞거나 그늘 속에 계속 있다 보면 체온이 내려가면서 떨림, 오한, 혈압 상승, 어지럼증 등 저체온증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저체온증 발생하면 따뜻한 곳으로 이동
저체온증의 증상이 나타나면 우선 따뜻한 곳으로 이동해 바람과 추위를 피해야 한다. 가을비를 맞아 옷이 물에 젖었다면 즉시 마른 옷으로 갈아입어야 하고 따뜻한 물로 목욕, 사워 등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대동병원 지역응급의료센터 김미란 센터장(응급의학과 전문의)은 "저체온증이 의심된다면 양지바르고 바람이 불지 않는 안전한 곳으로 이동해 젖은 옷을 벗고 마른 옷을 갈아입도록 하며 모자, 수건 등을 이용해 머리, 목, 손 등을 통해 열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며 "따뜻한 음료를 통해 수분을 보충하되 술이나 카페인 음료는 섭취하지 않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야외에서 곧바로 따뜻한 곳을 찾기 힘든 경우라면 바람을 피할 수 있는 마른 장소로 대피하는 것이 좋다. 의식이 흐려져서 스스로 이런 행동을 못할 경우는 주위 사람이 따뜻한 옷 등으로 보온하고 119에 전화해 의료기관에서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김 교수는 “특히 중심체온이 32도 이하인 저체온증 환자는 악성 부정맥·의식 저하 등 심각한 증상을 유발하고 충격에 부정맥 등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매우 조심스럽게 이송해야 한다”며 “신체기능 저하로 극도의 저체온증 시 약물 등에 반응이 없을 수 있어 심장정지 등 위급한 상황 시 중심체온을 올리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저체온증 환자의 체온을 올리기 위해 직접적으로 불을 가까이 하거나 뜨거운 물을 부을 경우 화상을 입을 수 있다. 조이거나, 젖은 옷은 마른 옷으로 갈아입히고 따뜻한 곳으로 이동해야 한다. 이후 의료기관으로 이송해 저체온증의 유발원인을 교정하고 환자 상태에 따른 적절한 재가온 방법으로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다.
camila@fnnews.com 강규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