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들은 지난달 19일 '전원 일치'로 기준금리 동결(3.50%)을 의결하는 과정에서 물가 및 대내외 불확실성 상승에 우려감을 나타냈다. 특히 물가 상방 리스크가 높아지면서 인플레이션 둔화가 예상보다 지연되면 추가 금리인상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 나왔다.
한은이 7일 공개한 '2023년 제19차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에 따르면 A위원은 "최근의 물가 상방 리스크를 고려할 때 이에 대응한 긴축기조가 기존 예상보다 강화돼야 할 가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한다"며 "향후 인플레이션 상방 리스크 현재화로 인플레이션 둔화가 예상보다 지연될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아질 경우 추가 인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B위원 역시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된 가운데 물가의 상방 리스크가 커진 점과 금융 불균형이 누증된 점을 감안해 이번에는 기준금리를 동결하되 추가 인상 가능성을 계속 열어둘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C위원은 오는 30일 열릴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추가 금리인상 여부를 포함한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그러면서 "물가는 상당 기간 목표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고 가계부채 증가세도 완화되지 않고 있으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취약부분 리스크도 해소되지 않고 있다"며 "주요국의 긴축기조 장기화로 고금리 추세가 상당 기간 지속되고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불확실성도 큰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긴축기조를 유지하면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전개 양상과 국제유가 및 근원물가 흐름, 원·달러 환율 추이, 가계부채 동향, 부동산시장을 포함한 실물경제의 회복 정도, 미국 등 주요국의 통화정책 등을 살펴봐야 한다고 밝혔다.
일부 위원은 국내외 상황을 살펴보며 추가 긴축 또는 완화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냈다.
D위원은 "국내 경제는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로 인해 성장에 대한 하방 리스크 및 물가에 대한 상방 리스크가 확대되고 있어 정책여건의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상황"이라고 짚었다.
특히 "누증된 가계부채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 가계부채 위험을 평가하고 관리할 수 있는 종합적인 가계부채 리스크 관리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국내외 금융시장 상황, 성장 및 물가에 대한 향후 추이를 관찰하면서 추가 긴축 또는 완화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의사록은 오는 30일 한은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공개됐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지난 1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 목표 범위를 5.25~5.50%로 동결하면서 한은이 오는 30일 금통위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7차례 연속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이 커지고 있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