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광주광역시, 267억원 들여 상습침수지 2곳 예방시설 설치

환경부 하수도정비중점관리지역에 공구의거리‧계림동 선정

광주광역시, 267억원 들여 상습침수지 2곳 예방시설 설치
광주광역시는 환경부의 2023년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 공모에서 북구 공구의거리와 동구 계림동 금호아파트 주변 2개 지역이 선정돼 총 267억원을 들여 침수 예방시설 설치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광주광역시 제공

【파이낸셜뉴스 광주=황태종 기자】광주광역시가 267억원을 들여 상습침수지 2곳에 침수 예방시설 설치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광주시는 환경부의 2023년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 공모에서 북구 공구의거리와 동구 계림동 금호아파트 주변 2개 지역이 선정됐다고 8일 밝혔다.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은 하수 범람으로 잦은 침수피해가 발생하는 지역으로, 침수 횟수, 침수 피해 정도, 지자체의 노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환경부가 지정한다.

이번에 선정된 북구 공구의거리와 계림동 금호아파트 주변은 저지대로 인근 하천 등에서 발생한 빗물이 집중될 뿐만 아니라 하수관로의 용량 부족으로 집중호우 때 상습 침수가 발생하는 지역이다.

이번 사업 선정으로 광주시는 총 267억원을 투입해 오는 2026년까지 빗물펌프장, 우수저류조 등 침수 예방시설 설치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광주시는 사업의 시급성을 감안해 지난 8월 신청서를 제출했으며, 10월 환경부의 현장조사와 선정위원회 심사를 거쳐 최종 선정됐다.

광주시는 지난해 이미 지정된 극락천 유역(백운광장, 서석고)과 서방천 유역(신안교)에다가 이번에 선정된 공구의거리, 계림동 금호아파트 일원 등 총 4개 지역에 대해 하수도 정비대책 수립, 기본 및 실시설계 절차를 거쳐 도시 침수 예방시설 설치사업을 추진한다.

광주시는 이와 함께 게릴라성 집중호우에 대비한 스마트 도시침수 대응 시스템 구축 사업을 오는 2025년까지 추진할 계획이다.
시민이 실시간으로 침수지역 상황과 침수지역 예측, 대피 안내 등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다.

광주시는 또 정기적으로 하수관로와 빗물받이 점검과 준설을 확대 실시하고, 시민이 참여하는 빗물받이 시민 관리제, 민관합동 빗물받이 대청소 실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맨홀 추락방지 시설 설치도 확대 시행한다.

최원석 광주시 물관리정책과장은 "이번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 선정으로 국비 지원이 가능하게 돼 침수 예방사업 추진에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면서 "조속히 사업을 추진해 침수 피해가 해소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