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북한의 우주발사체 3차 도발에 따른 대응 조치로 9·19군사합의 일부 효력 정지를 하자 북한이 사실상 전면 파기 선언으로 맞불을 놓으면서 각종 군사시설 복원에 나서는 등 한반도 안보 정세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국방부는 27일 북한이 동부전선 최전방 소초(GP)에서 감시소를 복원하는 정황을 지상 촬영장비 등으로 포착했다며 사진을 공개했다. 국방부 제공
북한이 사실상 '9·19남북군사합의' 파기를 선언한 뒤 비무장지대(DMZ) 내 감시초소(GP)를 복구하고 경계호를 조성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대한 후속조치로 우리 군도 철수했던 GP 재가동할 것으로 보여 한반도 안보 긴장감이 날로 고조되는 형국이다.
국방부는 27일 북한의 군사시설 복원 조치에 대해 "대응조치를 즉각적으로 이행할 만반의 준비를 갖추어 나갈 것"이라며 "우리 군은 북한의 도발행위를 예의주시하면서 강화된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기반으로 북한의 어떠한 도발에도 즉각, 강력히, 끝까지 응징할 수 있는 만반의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국방부는 이날 "11월 24일부터 북한은 (9·19 군사합의에 따른) 일부 군사조치에 대한 복원 조치를 감행 중"이라며 파괴 및 철수 GP 11개소에 근무자를 투입하고 임시초소를 설치하고 중화기를 반입했으며, 서해 해안포 포문 개방을 늘리고 있다고 전했다.
우리 군 당국에 따르면 북한군이 DMZ 내 GP 복구에 나선 모습이 이달 24일부터 우리 군의 열영상장비(TOD) 등 감시 장비에 포착됐다.
군 당국은 주로 동부전선 지역에서 촬영한 △북한군 4명이 목재로 된 초소 구조물을 짓는 모습 △얼룩무늬로 된 초소 주변에 북한군 4명이 서 있는 모습, 그리고 △앞서 GP를 철거했던 장소에 경계호를 조성하고 고사총(무반동총)을 배치한 채 주·야간 경계근무를 서는 모습 등을 담은 사진을 공개했다.
북한군이 철수 GP에 병력을 투입한 것은 군사합의 파기 선언에 따른 후속 조치로, 최전방 지역의 군사적 긴장감을 높이려는 의도로 읽힌다.
이런 가운데 김명수 합동참모의장은 이날 북한의 DMZ내 GP 복원에 맞서 우리 군도 '9·19남북군사합의' 이행 차원에서 철수했던 GP를 재가동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김 합참의장은 이날 '우리 군도 GP를 복원할 것이냐'는 물음에 "적의 행동에 달려 있다고 생각한다"며 "신뢰를 깬 건 북한이기 때문에 (우리 군의) 대응조치는 시간이 지나면 알 게 될 것이다. 상응조치는 할 것"이라고 답했다.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김윤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