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사 "JSA 무장해제가 한반도를 더 안전하게 한다는 입장 남북에 전달"
[파이낸셜뉴스]
적막감 흐르는 판문점 경기도 파주시 판문점에서 주한미군과 한국군이 근무를 서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유엔사는 19일 성명을 내고 "현재 북한군의 무장 태세를 고려할 때, 유엔사는 공동경비구역(JSA) 경비요원들에게 민간인과 군인 모두를 보호하도록 재무장할 권한과 자격을 부여했다"고 밝혔다.
이날 유엔사는 "이 조치는 많은 주의를 기울여 취해진 것"이라며 "유엔사는 과거 합의대로 JSA를 무장해제하는 것이 한반도를 더욱 안전하고 평화롭게 할 수 있다는 입장을 대한민국 정부와 북한군 측에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JSA가 대화와 정전협정 이행의 장으로 남을 것이라고 북한군 관계자들을 안심시켰다"고 덧붙였다.
지난달 '9·19 남북군사합의' 전면 파기를 선언한 북한이 이 합의에 따라 파괴·철수한 최전방 감시초소(GP)를 복원하는 작업에 착수한 데 이어 JSA 비무장화 폐기에 대응해 우리측 JSA 경비요원들도 재무장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우리측이 재무장한 시점을 묻는 질문에 "이달 초쯤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전 대변인은 '북한의 9·19 군사합의 파기와 JSA 재무장에 대한 대응 차원이냐'는 물음에 "그런 걸로 안다"며 "유엔사에서 민간인과 군 장병을 보호하기 위해서 그런 조치들을 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군 소식통에 따르면 JSA에 근무하는 북한군이 지난달 말부터 권총을 휴대하자 정부는 이달 초 유엔사에 우리측 요원들의 무장을 요청했다.
지난달 22일 정부는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따른 대응조치로 9·19 군사합의 중 일부인 '비행금지구역 설정'의 효력을 정지하자, 북한은 이튿날 사실상 9·19 군사합의의 전면 파기를 선언했다.
이어 북한은 지난달 24일부터 9·19 군사합의로 파괴·철수한 11개 GP에 병력을 투입해 감시소를 설치하고 무반동총 등 중화기도 반입하는 등 진지를 재구축하기 시작했으며 전면 해제됐던 JSA 내 병력의 무장도 재개했다.
한편 북한군은 서해 북방한계선(NLL) 지역 내 갱도형 해안포 개문 사례도 급증한 것으로 전해졌다.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