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방산 수출 경쟁력 강화
에너지 안정적 확보 기반 구축
안덕근 통상교섭본부장(산업부 장관 후보자)과 자심 모하메드 알 부다이위 걸프협력이사회(GCC) 사무총장이 28일 오전 서울 강남구 한국무역협회에서 열린 한-GCC FTA 타결 공동선언문 서명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우리나라가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6개국 협력 기구인 걸프협력이사회(GCC)와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타결을 선언했다. GCC와 공식 협상을 시작한 지 15년만이다. 특히 중국과 일본 등 주요국보다 먼저 GCC와 협상이 타결되면서 향후 자동차·방산 기업들의 수출 경쟁력이 한층 강화되고, 에너지 자원의 안정적인 확보 기반도 구축될 전망이다.
■15년만에 GCC와 FTA 타결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안덕근 통상교섭본부장이 서울에서 자심 모하메드 알 부다이위 GCC 사무총장과 이 같은 내용의 FTA 협상을 최종 타결하고, 공동선언문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2008년 첫 협상을 시작한 이후 무려 15년만이다.
GCC(걸프협력회의)는 지난 1981년 5월 페르시아 만안의 6개 아랍산유국(사우디아라비아·쿠웨이트·아랍에미리트·카타르·오만·바레인)이 역내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결성한 지역협력기구다.
한-GCC FTA는 우리나라가 체결한 25번째 FTA(협상 타결 기준)다. 아랍권 국가로는 지난 10월 타결한 한-아랍에미리트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에 이어 두 번째로 체결한 국가 간 협정이 됐다.
이번 협정은 별도의 경제협력 챕터를 통해 12개 분야를 중심으로 포괄적인 경제협력 체계를 마련하는 내용을 담은 게 특징이다. 특히 에너지·자원, 바이오경제, 첨단산업, 스마트팜, 보건산업, 시청각서비스 등 6개 협력 분야의 경우 개별 부속서를 채택하는 등 세부 협력방안도 구체적으로 담았다. 나머지 6개 분야는 ICT, 과학기술, 농·임·수산업, 건설 인프라, 항공서비스, 기업방문이다.
주요 내용을 보면 우리나라와 GCC 측은 교역 시 전체 상품에 적용해 온 관세를 단계적으로 철폐해 나간다.
우리나라는 GCC 회원국들로부터 들여오는 전체 1만2242개 품목 중 10년 내 1만581개(전체 수입액 비중의 4.7%), 20년 내 1만1012개(전체 수입액 비중의 20.7%)까지 단계적으로 관세 철폐를 확대한다.
마찬가지로 GCC 측도 우리나라로 전체 수입품목 7879개 중 10년 내 3621개(전체 수입액 비중의 7.7%), 20년 내 6024개(전체 수입액 비중의 20.3%)까지 관세 철폐 대상 품목을 확내해 나갈 계획이다.
■방위산업·K콘텐츠 확대 기대
적용 품목별로 GCC는 우리 주력 수출품인 자동차·부품, 기계류, 화학제품 및 무기류 상당수와 농·축·수산물 등에 대한 관세를 없앤다.
무기류의 경우에도 대부분 품목의 관세가 철폐됨으로써 그간 방위산업 수요가 빠르게 증가해 온 중동 시장에 대한 무기 수출도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우리나라는 GCC로부터 들어오는 천연가스·석유제품·알루미늄 등의 주력 생산품(원유 제외)에 대한 관세를 철폐한다. 원유 분별 증류 시 나오는 탄화수소 혼합물 '나프타'의 경우에는 관세를 50% 감면해주기로 했다. 국내 석유화학업계의 생산원가가 낮아짐으로써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통상당국은 또 GCC측 농산품의 경우 국내 생산이 없는 대추야자, 홍차 등 품목 위주로만 개방함으로써 국내 관련 업계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했다.
서비스 시장의 경우 GCC 측은 영화·비디오 배급 서비스, 의료 및 치·의료 서비스 등에서 기존 WTO 서비스 협정 대비 높은 수준으로 개방했다. 산업부는 'K-콘텐츠' 및 '한류 확산'과 한국 의료기관의 중동 진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정부는 이번 한-GCC FTA 협상 타결 선언 이후 법률 검토 및 협정문 국문 번역 등을 거쳐 내년 중 정식 서명을 추진한다.
이후 경제적 영향평가와 국회 비준 동의 등 각국의 국내 절차를 거쳐 가급적 이른 시기에 협정이 발효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이에 더해 한-GCC FTA를 기반으로 GCC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GCC 인접 중동국가 및 아프리카 국가들과 FTA 체결도 검토해 나갈 계획이다.
안덕근 통상교섭본부장은 "내년부터 GCC 6개국과의 교역·투자 확대와 함께 GCC와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중동 전역과 인접해 있는 아프리카 권역까지 산업 및 에너지·자원 분야에서 협력을 집중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통상과 산업·에너지 간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leeyb@fnnews.com 이유범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