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총선 선심성 공약, 갈라치기 그만", "실패 용인하는 사회" 2030이 바라는 2024년

"걱정 없이 도전하는 사회 분위기 필요" "정치권, 극단 대립 대신 미래 위기 준비해야" "남성 육아참여 확대·공공기관 대폭 늘려야"

"총선 선심성 공약, 갈라치기 그만", "실패 용인하는 사회" 2030이 바라는 2024년
명동거리 메운 송년객들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2023년의 마지막 날인 31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 거리가 송년 인파로 북적이고 있다. 2023.12.31 dwise@yna.co.kr (끝)

[파이낸셜뉴스] "새해에는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도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문화가 형성되길 바랍니다."(29세 직장인 김유진씨)
"새해에는 선심성 공약이 아니라 인구 소멸, 기후 위기 등 장기적으로 닥쳐올 변화에 대비할 수 있는 실질적 논의가 이뤄졌으면 좋겠습니다."(30세 직장인 송현우씨)
"총선 선심성 공약, 갈라치기 그만", "실패 용인하는 사회" 2030이 바라는 2024년
[김제=뉴시스] 김얼 기자 = 푸른 용의 해 갑진년(甲辰年) 새해를 하루 앞둔 31일 전북 김제시 벽골제의 쌍용 조형물 뒤로 밝은 해가 떠오르고 있다. 다사다난했던 계묘년(癸卯年)을 마무리하며 떠오르는 쌍용 사이의 해가 매우 밝은 빛을 내며 빛나고 있다. 다가올 갑진년(甲辰年)에는 하늘 높이 비상(飛翔)하는 용처럼 비상(飛上) 한 한 해가 되길 소망해 본다. 2023.12.31. pmkeul@n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사진=뉴시스화상

1일 2024년 갑진년 새해를 맞은 2030 청년들은 다양한 삶의 방식을 존중하는 사회, 미래 위기를 해소할 방안을 찾는 논의가 가능한 사회가 되기를 소망했다. 다가올 총선에선 갈등을 조장하는 분위기보다 발전적 아젠다가 나왔으면 한다는 바람도 있었다.

청년들은 진로를 정하는 데 있어 다양한 기회가 더욱 많아지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취업 준비생 강지연씨(27)는 "주변에 스타트업을 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다른 한편으로 대기업에 취업한 후에 하고 싶은 일을 해야 인정받을 수 있다는 편견도 있다"며 "결과적으로 취업에 목을 매다보니 시간을 허비한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실패한 사람들을 패자로 보지 않고 도전 정신을 격려하는 사회 분위기가 만들어졌으면 좋겠다"고 했다.

김유진씨는 "의대, 로스쿨처럼 모두가 하나의 목표에만 매달리는 사회로 향하는 것 같아 우려스럽다"며 "사회관계망서비스(SNS)가 다른 사람과 비교하게 만드는 부작용을 낳은 결과가 아닌가 생각한다. 성향에 따라 원하는 진로를 꿈꾸고 거기서 충분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게 건강한 사회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총선 선심성 공약, 갈라치기 그만", "실패 용인하는 사회" 2030이 바라는 2024년
(서울=뉴스1) 신웅수 기자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총선)가 100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1일 서울 종로구 서울시선거관리위원회에 선거일을 알리는 알림판이 세워져 있다. 오는 4월10일에 치러지는 이번 총선은 윤석열 정부의 중간 평가인 동시에 국정 후반기 동력을 가름하는 변곡점이 될 전망이다. 2024.1.1/뉴스1 /사진=뉴스1화상

총선을 앞둔 올해 정치권에는 갈등보다 화합하는 문화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송현우씨는 "선거 때마다 나오는 선심성 공약은 오히려 정치 혐오를 키우는 것 같다. 지킬 수 없는 약속을 내세우지 말고 청년들이 마주할 미래 위기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변화로 이어지길 바란다"며 "이를 위해서는 극단적 대립을 용인하지 않는 사회가 돼야 한다"고 했다.

김유진씨는 "올해는 정치권이 이익에 따라 분열하지 않고 대의를 위해 화합해서 변화를 이끌어내는 해가 됐으면 좋겠다"며 "감추고 은폐하기보다 국민 의견을 충실히 반영하는 열린 정부가 돼야 한다"고 했다.

가정을 이룬 청년들은 아이 키우기에 아직 부족한 환경을 개선해달라고 요구했다. 고지영씨(36)는 "아이를 키우는 데 단순히 돈을 지원하는 것만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여성의 사회활동 욕구를 제약하지 않는 직장 내 문화가 무엇보다 가장 중요하다"며 "남성의 육아 참여가 크게 늘어야 해소할 수 있는 문제"라고 말했다.

한소연씨(37)는 "조부모님 도움 없이 아이를 키울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 인구 소멸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며 "외국인 돌보미 같은 정책은 값싸고 쉬운 방법만 찾아서 나온 아이디어라고 본다. 근본적으로 아이를 마음 놓고 맡길 수 있는 공공기관을 훨씬 많이 늘려야 한다"고 했다.

unsaid@fnnews.com 강명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