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AI 캅’으로 진화하는 경찰… 딥러닝 활용해 진술 분석·번호판 식별 [2024 K-엔진을 다시 켜라]

매년 빅데이터 경진대회 개최.. 우수한 관련 기술 실무에 활용
문서 개인정보 비식별화 개발.. AI 기술로 업무처리 속도 높여
범죄 예방·범인 검거에도 큰 공

‘AI 캅’으로 진화하는 경찰… 딥러닝 활용해 진술 분석·번호판 식별 [2024 K-엔진을 다시 켜라]
지능형 CCTV가 화면에 잡힌 사람들의 행동을 분석하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 제공
인공지능(AI) 열풍은 경찰도 예외가 아니다. 경찰은 매년 빅데이터 경진대회를 열고 관련 기술을 실무에 활용하고 있다. 경찰은 서류에서 개인정보를 찾아 가려주는 비식별처리(마스킹 작업)와 번호판 인식 등에 AI 기술을 활용, 업무처리 속도를 높였다. AI 기술은 수사 현장에서도 범죄예방과 범인 검거에 큰 공을 세우고 있다.

■서류 속 개인정보 AI가 가려줘

8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청은 매년 빅데이터 분석 경진대회를 열고 이를 실무에 활용하고 있다. 지난해 경진대회에는 서울경찰청 송파경찰서 김우진 경위가 대상을 받아 경감으로 특진 임용됐다.

김 경감은 AI를 활용해 전자문서에 포함된 개인정보를 PC가 스스로 찾아내 가려주는 '개인정보 자동 비식별화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했다. 일선 수사관들은 수사자료 정보공개 청구가 들어올 때마다 공개서류에 기록된 개인정보를 수작업으로 가렸다. 이를 수사관들 사이에선 '마스킹 작업'이라고 부른다.

마스킹 작업은 수사업무와는 상관없지만 반드시 해야 하는 단순반복 업무였다. 마스킹 작업을 누락했다가 행정소송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어 소흘히 할 수 없는 업무다. 기존에도 자동으로 개인정보를 가려주는 자동 비식별처리 프로그램이 있지만 스스로 개인정보를 인식하고 완벽하게 가리지는 못해 사람이 재확인하고 손보는 과정을 거쳤다. AI 기반이 아니라서 주민등록번호나 계좌번호처럼 규칙성이 있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인식하지 못했다. 김 경감이 개발한 프로그램은 형식이 정해진 개인정보뿐 아니라 기업명이나 브랜드명처럼 기계적으로 걸러내기 어려운 정보까지 찾아내 가려준다. AI 딥러닝 학습을 통해 정보의 종류를 가려내는 훈련을 거쳤기 때문에 정확도는 96%에 육박한다.

■표정으로 거짓말 탐지

최우수상을 받은 같은 청 최형연 경감의 '얼굴 표정 단서를 활용한 딥러닝 기반 진술 진위 분석모델'은 거짓말탐지 검사를 한 단계 발전시켰다. 이는 진술 과정에서 나타나는 미세한 표정 변화의 영상정보를 데이터화해 분석함으로써 진술의 사실 여부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술이다.

경찰은 범죄차량 번호판 분석에도 AI 기술을 활용한다.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는 'AI기반 차량번호판 분석시스템 고도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경찰은 2023년 3월 발생한 강남 납치살인 사건에서 신고 직후 현장 인근 불법주정차 단속용 카메라에서 차량을 찾았지만, 밤이라 어두운 데다 저화질로 번호판이 식별되지 않았다. 또 차량 번호 확인 뒤에도 신고자가 범행차종을 오인하면서 차량조회 시스템에는 나오지 않는 차종 확인 작업이 추가로 필요해 차량 특정에만 1시간이 걸렸다.


이에 경찰은 열악한 사진이나 영상 캡처본에서도 사이즈를 키우고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해 차량번호 추출 정확도를 높이기로 했다. 컴퓨터가 스스로 외부 데이터를 조합해 분석하는 딥러닝 기술을 활용할 방침이다. 경찰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함께 배회, 침입, 화재 등 사건·사고 가능성이 있는 CCTV 영상 속 행동을 AI 기술로 분석해 관제센터나 관할 기관에 바로 알려주는 지능형 CCTV 사업도 확대 도입하고 있다.

beruf@fnnews.com 이진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