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홍콩ELS 조단위 손실… 은행 4곳, 결국 모든 ELS 판매중단

금융당국 압박에 은행들 긴장
우리은행도 중단 여부 검토

홍콩ELS 조단위 손실… 은행 4곳, 결국 모든 ELS 판매중단
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홍콩H지수) 연계 주가연계증권(ELS)의 조 단위 손실을 앞두고 시중은행이 모든 ELS 상품 판매를 전면 중단했다. 금융당국이 은행의 ELS 판매중단 여부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고 압박에 나서자 하나은행을 시작으로 KB국민은행, 신한은행이 전격적인 판매 잠정중단 결정을 내린 것이다. 금융감독원이 시중은행의 홍콩H지수 ELS 상품의 불완전판매 여부를 강도 높게 조사하는 가운데 조사 결과에 따라 피해자 보상안과 후속대책이 나올 전망으로, 금융당국의 압박 속에 은행들의 긴장이 높아지고 있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10월부터 이미 ELS 관련 상품 판매중단을 결정한 NH농협은행에 이어 하나·KB국민·신한은행이 모든 ELS 상품 판매를 중단했다. 우리은행도 ELS 상품 판매중단을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다.

5대 시중은행은 지난해 11월 H지수와 연계된 ELS 상품 판매를 이미 중단했지만 전체 ELS 상품 판매중단 조치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이는 은행들이 ELS 상품의 구조적 결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어서다.

은행권 관계자는 "라임사태 당시엔 상품의 구조적 결함이 있었다"면서 "지수연계 ELS 상품은 금융당국이 안정성을 확인한 뒤 판매한 것"이라면서 "ELS 상품에서 손실이 났다고 판매를 중단하면 결함을 인정하는 꼴"이라고 토로했다. 이번 홍콩H지수 ELS 상품의 불완전판매 논란 역시 일부 녹내장 환자나 80세 이상 고령자 등에게 판매한 명확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구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하지만 지난 29일까지 5대 시중은행에서 집계된 확정손실이 3114억원으로 홍콩H지수 ELS 상품의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데다 전날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김주현 금융위원장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모두 은행에서 ELS와 같은 고위험상품 판매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치자 은행들이 입장을 선회한 것으로 풀이된다.

5대 시중은행 중 아직 ELS 상품 판매를 전면 중단하지 않은 우리은행도 신중한 검토에 들어갔다. 이미 일본 닛케이지수가 고점 우려가 있어 닛케이 편입 비중은 최소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다. 조기상환 가능성이 높은 배리어가 낮은 상품만 판매하고 있다는 것이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은행들은 서로 눈치를 보면서 갈 수밖에 없는 구조로, 연쇄적인 압박을 받는 것 같다"고 말했다

전날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한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은행의 ELS 판매를 중단해야 한다'는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적에 "금융감독원의 검사 결과가 나오면 관련 제도 개선을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이 의원은 "ELS는 투자자가 옵션을 매도하는 형식의 상품인데 금융사가 옵션 매도에 따른 '프리미엄'을 제대로 지급하지 않았다"면서 "금융사가 ELS 판매에 열을 올린 것은 고수익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따져 물었다.

옵션 상품의 구조를 개인이 이해하기 어려운데 리스크(손실 우려)를 져가면서 살 수 있게 하는 게 맞지 않다는 지적이다.
은행 등 금융사가 개인에게 옵션 상품을 판매하면서 프리미엄 역시 제대로 지급하지 않고 판매를 통해 고수익을 냈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 2019년 DLF 사태 당시 금융감독원 조사 결과 DLF 관련 외국계 투자은행(IB), 국내 판매사인 은행, 증권사, 자산운용사 등 금융사 수수료 합계는 4.93%인 반면 투자자 약정 수익률은 2.02%에 그친 것으로 드러나기도 했다.

한편 5대 은행의 지난해 3분기 누적 비이자이익은 2조7748억원으로 이 가운데 ELS 등 신탁판매가 차지하는 비중은 10%대 미만으로 추산된다.

mj@fnnews.com 박문수 박소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