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韓, G20·안보리·美 ‘북러 대항’ 호소..中 “핵확산 야기”

외교장관, G20·안보리 찾아 '북러 대응' 요청
한미일회담서 '북러 대응 협력' 핵심과제 논의
안보리서 "北미사일, 우크라戰 장기화시켜"
한미회담 예정..핵 기반 확장억제 강화 논의
G20서 원론적이던 中, 관영지 통해 견제구
"한미일 협력, 신냉전 조성..핵확산 위험성"
北 '뒷배' 러시아, G20서 대화하지도 않아


韓, G20·안보리·美 ‘북러 대항’ 호소..中 “핵확산 야기”
조태열 외교부 장관과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 가미카와 요코 일본 외무상은 22일 오후(현지시간) 주요 20개국(G20) 외교장관회의가 열리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한미일 외교장관회의를 갖고 3국 협력과 주요 지역 및 글로벌 현안에 관해 논의했다. 사진= 외교부
韓, G20·안보리·美 ‘북러 대항’ 호소..中 “핵확산 야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북한 핵·미사일 위협 대응을 위해 G20(주요 20개국) 외교장관 회의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공식회의에서 호소한 데 이어 미국 국무부 장관을 마주할 예정이다. 이를 두고 중국은 오히려 ‘핵확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견제구를 던졌다.

조 장관은 21~22일(현지시간) 브라질 리우 데 자네이루에서 열린 G20 외교장관 회의에 참석해 북핵 위협, 또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협력에 대한 국제사회의 단호하고 단합된 대응을 요청했다.

조 장관은 특히 G20 회의를 계기로 한국·미국·일본 외교장관회담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토니 블링컨 미 국무부 장관은 “북한의 도발적 행동과 러시아와의 군사협력, 중국의 공세적인 행동 등 역내 도전이 증대하고 있다. 가장 가까운 동맹국인 우리의 협력과 조정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북한 이슈를 가장 핵심적인 과제로 언급했다.

G20 일정을 마친 조 장관은 23일 미국 뉴욕으로 향해 안보리 고위급 회의에 참석했다. 그는 “북한의 군수품과 미사일이 우크라이나에서 목격되고 있다. 전쟁이 더욱 확대되고 장기화될 위험이 있다”며 “북한이 대가로 받는 것이 첨단 군사기술이나 안보리 결의 한도를 초과하는 석유 거래인 것으로 드러날 경우 이는 한반도 안보를 위협하는 북한의 능력으로 되돌아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북러에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를 준수해 군사협력을 중단하라는 요구다. 우리나라가 올해부터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을 맡은 뒤 외교장관이 안보리 회의에 참석한 건 처음이다.

조 장관은 오는 28일에는 블링컨 장관과 한미 외교장관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북한 이슈와 관련해선 핵협의그룹(NCG)을 통한 핵 기반 확장억제 강화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오는 6월 NCG 3차 회의를 거친 후 한미연합훈련에 핵작전이 포함될 예정이다.

조 장관의 이 같은 국제사회 차원의 북러 대항을 유도하는 데 대해 중국 측은 불편한 기색을 드러냈다. 앞서 G20 회의 계기로 조 장관이 마자오쉬 중국 외교부 상무부부장(차관)을 만났을 때는 한중관계가 중요하다는 원론적인 입장만 내고, 이후 관영지를 통해 견제에 나선 것이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인보 계열 영문매체 글로벌타임스는 26일 전문가 의견 인용 형식으로 “미일한 군사 안보 협력과 소위 군사적 억지력 강화는 지역 블록 대결 추세를 가속화하고 지역 내 신냉전 분위기를 조성할 것”이라며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에 대한 미일한의 협력과 한반도에 미 잠수함·폭격기 등 전략 핵자산이 계속 배치되는 것을 포함한 이른바 확장억제 강화에는 핵확산의 위험성도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일본과 한국은 미국의 옷자락에 올라타 지역 내 정치·경제·안보 영향력을 확보하려는 열망과 야심을 실현하려 한다”고 비난했다.

조 장관이 북한과 함께 위협이라 규정한 러시아의 경우 G20 회의 때 아예 접촉하지도 않았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G20 회의에 참석했지만 조 장관과 별도 회담을 열지도, 본회의장에서 대화를 나누지도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라브로프 장관은 지난해 북러 군사협력이 이뤄진 후 직접 북한을 방문하고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만났던 인사다. 이후 최선희 북한 외무상이 지난달 러시아를 답방해 외무장관회담을 열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을 논의키도 했다.

uknow@fnnews.com 김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