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ELS 은행별 배상액 셈해보니..'기본배상비율 40%' KB 1조, NH 1100억

투자자 손실률 50%, 배상비율 40% 단순 가정
은행별 상반기 예상 배상액을 산출한 결과
신한 2700억, 하나 1500억, SC 1200억, 우리 73억

ELS 은행별 배상액 셈해보니..'기본배상비율 40%' KB 1조, NH 1100억
[연합뉴스 자료사진]


2024년 상반기 은행권 판매 H지수 ELS 만기 규모 및 예상 손실 배상액
(억원)
KB국민 신한 하나 NH농협 SC제일 우리
만기도래규모 4조7447 1조3329 7380 7330 6187 367
투자자 손실률 50% 2조3724 6665 3690 3665 3094 184
손실 배상비율 20% 4745 1333 738 733 619 37
손실 배상비율 30% 7117 1999 1107 1100 928 55
손실 배상비율 40% 9489 2666 1476 1466 1237 73
손실 배상비율 50% 1조1862 3332 1845 1833 1547 92
(만기도래규모=윤한홍 의원실, 금융감독원)

[파이낸셜뉴스]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지수) 주가연계증권(ELS)을 판매한 일부 은행들이 손실금액을 약 40%를 배상할 것으로 추정됨에 따라 연말 손익에 '대형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판매잔액이 가장 많은 KB국민은행은 투자자 손실률과 배상비율을 각각 50%, 40%로 가정해 계산한 결과 올해 상반기에만 9489억원을 배상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지수 ELS 상품 설명서에 금융소비자보호법상 위반 사항이 적발된 경우 최소 20~30%의 일괄 배상비율이 적용돼 일부 은행들의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12일 파이낸셜뉴스가 KB국민·신한·하나·NH농협·SC제일·우리은행이 판매한 H지수 ELS 상품의 상반기 만기도래규모를 기초로 단순 계산한 결과 은행별 손실 배상비율은 1조원에서 수십억원대로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자 손실률과 손실배상비율을 각각 50%, 40%로 가정해 계산한 결과 KB국민은행이 물어 줘야 할 돈이 상반기에만 948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미 H지수 고점에 '물렸던' 대다수 투자자들의 손실이 가시화된 상황에서 국민은행과 마찬가지로 기본 40% 배상을 고려하고 있다고 알려진 NH농협은행도 1466억원을 배상액으로 써야 한다.

두 은행을 제외한 은행들은 20~30% 기본 배상비율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감독원이 배상 방식을 발표 하면서 강조한 적합성의 원칙에 위반될만한 소지가 상대적으로 적다고 판단한 것이다.

손실 배상비율을 20%로 단순 계산할 경우 신한은행의 배상액은 1333억원 가량으로 추산된다. 뒤이어 하나은행(738억원) SC제일은행(619억원) 우리은행(37억원) 순이다.

은행에서 팔린 H지수 ELS 중 올해 상반기 만기 도래 물량은 총 8조2040억원 규모로, 국민은행(4조7447억원)이 절반 이상이다. 바로 이어 신한(1조3329억원) 하나(7380억원) 농협(7330억원) 제일(6187억원) 우리(367억원) 순이다. 이를 투자자 손실률 50%, 손실 배상비율 40%로 단순 가정할 경우 배상 총액은 1조6408억원에 달한다.

다만 은행들이 배상에 들어가는 비용만큼 대손충당금 적립 규모를 줄인다면 올해 실적은 지난해와 비슷한 규모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KB금융의 연간 대손충당금 적립액이 3조10000억원에 달하는 만큼 손실 배상의 상당 부분은 충당금 적립 감소로 상쇄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국민은행의 모기업인 KB금융지주는 올해 상반기 H지수 ELS의 대규모 손실과 이에 따른 배상을 대비해 지난해 추가 충당금을 적립했다.

정준섭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실제 배상 규모는 사별 구체적인 배상안과 ELS 투자자의 수용 여부 등에 따라 결정될 예정"이라면서 "배상 규모가 관건이겠지만 ELS 손실 배상은 어쨌든 일회성 요인인 만큼 주주환원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mj@fnnews.com 박문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