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밥.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사과, 파 등 주요 채소류 가격이 정부대책으로 하락세에 접어드니, 이번엔 김이 금값이다. 해외에서 김은 물론이고, 김밥까지 인기를 끈 게 원인으로 분석된다.
서울 마포에서 김밥집을 운영하는 김모(43)씨는 “김을 납품하는 업체에서 김값이 계속 오른다고 해 걱정”이라며 “김밥 한 줄 팔고 재료비·임대료 등을 제외하면 남는 건 1000원도 안된다. 어쩔 수 없이 김밥 가격을 500원 올렸다”고 했다.
24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마른 김 100장의 도매가격은 1년새 50% 넘게 뛰었고, 마른김과 도시락김 소비자가도 15%나 올랐다.
업체의 냉동 원초 재고가 떨어지고 가격이 비싸진 원초로 제품을 생산하게 되는 다음 달쯤부터 김 가격이 본격적으로 더 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김 가격 폭등은 김 수출 증가로 내수용 물량이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김은 지난해 수출액 1조원대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 기록을 달성했다.
한국 김은 124개국에 수출되고 있으며 세계 시장 점유율은 70%에 달한다. 올해 김 생산량은 전년보다 소폭 늘었지만 최근 일본과 중국의 작황 부진으로 한국산 수요가 더 커지면서 물량이 수출용으로 쏠렸다.
김은 우리나라와 일본 등에선 주로 밥반찬으로 소비되고 있지만 그밖에 해외 시장에선 감자칩·팝콘 등을 대체하는 저칼로리 건강 스낵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여기에 지난해 미국에서 시작된 냉동김밥 열풍도 김 수요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
미국의 식료품 유통업체 ‘트레이더조’는 작년 8월부터 냉동김밥을 판매하기 시작했는데, 김밥 수백만 줄 분량인 250만t의 초도물량이 한 달도 되지 않아 완판되는 등 큰 인기를 얻었다. 이 밖에 김밥이 자주 등장하는 한국 드라마도 김의 인지도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김이 수출 효자 품목으로 거듭나면서 상대적으로 내수 물량은 부족해졌다. 수출 수요가 증가하면서 도매시장 내 반입량이 줄었고 가격도 자연스레 상승하고 있는 것이다.
2월 김밥용 김 도매가격은 속당 7400원으로 38.9% 올랐고, 같은 기간 돌김 가격도 1만790원으로 40.5% 상승했다.
김값이 크게 오르면서 김밥 가격 인상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지난달 서울 지역 평균 김밥 가격은 3323원으로 1년 전 가격 3100원보다 7.2% 올랐다. 2022년 2808원보다는 18.3% 오른 가격이다.
moon@fnnews.com 문영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