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년 만에 서울 시내버스 파업이 28일 시작되자 서울역 지하철 승강장에 시민들이 몰리고 있다. 이날 오전 비 내리는 서울역 인근 버스정류장에서 시민들이 오지 않는 버스를 기다리고 있다(맨위 사진). 뉴시스연합뉴스
'1000만 시민의 발'인 서울 시내버스가 12년 만의 파업으로 11시간여 동안 운행이 전면 중단되는 사상 초유의 오점을 남겼다. 28일 오전 4시 첫차 운행중단을 기점으로 시작된 파업은 오후 3시10분경에야 노사 임금협상 타결로 힘겹게 마무리됐다. 12년 전 부분파업 때는 20분 운행중단에 그친 바 있다.
오세훈 시장은 이날 서울시청 8층 다목적홀에서 "(서울 시내버스) 노사 간 임금협상 합의를 지속적으로 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오후 3시10분에 타결됐다"며 "앞으로 안정적으로, 지속적으로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시버스노동조합과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은 임금인상률 4.48%에 합의했다. 앞서 부산과 대구의 시내버스 노사가 타결한 임금인상률과 같다. 협상 초기 노조는 12.7% 인상을 요구했고, 사측은 2.5% 인상안을 제시했다. 서울지방노동위원회가 중재안으로 6.1%를 내놓은 뒤 양측은 극적으로 6.1%와 5.1%를 두고 줄다리기를 벌이다 결국 4.48%에 합의했다. 여기에 더해 명절 등 특수한 시기에는 연장운행을 고려해서 수당 65만원을 추가로 지급하기로 했다.
임금인상에 따라 서울시가 시내버스에 투입하는 재정규모는 연 500억원가량 증가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대중교통 요금을 또 인상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서울시는 이미 지난해에 버스요금을 300원, 지하철요금을 150원 인상한 바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재정부담이 늘어나는 건 맞지만 당분간 요금인상 요인은 바로 도출되지 않을 것이라 본다"며 "노사 간 협력을 강화해서 다른 부대사업을 통해 수익을 높이는 방식 등으로 해결책을 찾아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번 파업으로 전체 서울시내 버스(7382대)의 97.6%에 해당하는 7210대가 운행을 멈췄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하철은 파업을 해도 대체인력이 있어서 일정 비율은 파업에 참여할 수 없도록 하는 강제적 조항이 있다"며 "버스도 일정 비율 이상 파업에 참여할 수 없도록 하는 강행 규정을 국회 차원에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ronia@fnnews.com 이설영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