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새마을금고에 금감원 내달 8일 첫 공동검사..부실정리 본격화되나

금감원, 예보, 새마을금고중앙회 등이 4월 8일부터 2주간 현장검사 실시
자산규모 큰 개별 금고 4곳 대상

새마을금고에 금감원 내달 8일 첫 공동검사..부실정리 본격화되나
(출처=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이 올해 들어 급격히 상승 중인 가운데 금융당국이 다음 달 8일부터 개별 금고에 대한 첫 검사를 실시한다. 행정안전부로부터 관리·감독을 받는 새마을금고에 대한 금융당국의 검사가 이뤄지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검사를 계기로 저축은행과 함께 새마을금고의 부실채권 정리 작업도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31일 금융권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예금보험공사, 새마을금고중앙회 등과 함께 4월 8일부터 약 2주간 새마을금고에 대한 현장 검사를 진행한다. 검사 대상은 자산 규모가 비교적 큰 개별 금고 4곳이다.

이는 금융위원회와 행안부가 지난달 맺은 '새마을금고 건전성 감독 협력체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에 따라 금감원·예보·새마을금고중앙회가 검사협의체를 구성한 데 따른 것이다.

금융당국과 행안부는 지난해 7월 새마을금고 뱅크런 위기 이후 금고 감독 과정에 금융당국의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을 수용해 이 같은 공동 검사에 처음으로 나서게 됐다. 금융 분야 전문성이 떨어지는 행안부가 감독하면서 건전성 관리에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 때문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연체율 관리 등 건전성 부분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올해 들어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 여파 속에서 급등하며 긴장감이 높아진 상태다.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은 지난해 말 기준 5.07%에 올해 1월 기준 6%대로 오른 데 이어 지난달엔 7%대까지 추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에서는 부동산 PF와 유사한 성격의 관리형토지신탁과 공동대출 부실화가 연체율 상승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관리형 토지신탁은 부동산PF와 달리 담보가 있어 상대적으로 안전하지만 사업 지연이 장기화돼 연체가 발생할 경우 부실이 불가피하다.

홍성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행안부로부터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새마을금고의 지난해 6월 말 기준 관리형 토지신탁 대출 잔액은 16조3481억원이다. 2019년 말(1695억원) 대비 약 96배 수준이다.

이에 새마을금고중앙회와 행안부는 지난 5일 경영혁신이행추진협의회를 열고 관리형 토지신탁 대출과 부동산 공동대출에 대한 취급 기준을 강화하기로 했다. 새마을금고가 시행하는 모든 관리형 토지신탁 대출과 200억원 이상 공동대출은 새마을금고중앙회가 공동투자를 통해 반드시 참여하고 심사를 거친 후에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내규에 반영된다. 또 200억원 이하이더라도 70억원 이상 공동대출 건은 새마을금고중앙회의 사전검토를 거쳐 진행되도록 했다.

사업성이 떨어지는 부실 사업장을 정리해 경·공매로 넘기는 등의 적극적인 연체율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금감원의 첫 검사 이후 새마을금고의 PF 부실채권 정리가 본격화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미 금감원은 연체율이 급등하고 있는 저축은행에 적극적인 경·공매를 유도하고 있다. 저축은행들의 올해 1·4분기 말 연체율이 공개되면 4월 중순쯤 저축은행들의 연체채권 관리에 대한 현장점검에도 나설 계획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저축은행중앙회의 경·공매 활성화 방안의 이행 여부 및 부실채권 관리 적정성을 점검할 예정"이라며 "저축은행을 시작으로 앞으로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등 2금융권 전반적으로 이같은 조치를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