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과학연구원, 비금속 센서로 국산화 성공
안테나 성능 측정 거리를 수㎜에서도 가능해
경량화해 어디서든 왜곡없이 성능 측정 가능
표준과학연구원 홍영표 박사팀이 6G 통신 안테나의 성능을 측정할 수 있도록 개발한 비금속 센서. 표준과학연구원 제공
[파이낸셜뉴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전자파측정그룹 홍영표 박사팀이 광학적 방식을 적용한 비금속 센서 기반의 6G 통신 안테나 성능 측정 장비를 국산화했다. KRISS는 ㈜이스트포토닉스에 기술료 3억원 규모로 기술을 이전하는 협약을 8일 체결했다.
홍영표 박사는 "현재 국내 6G 관련 연구가 소재·부품 분야에만 집중돼 있고 측정 장비 연구개발은 전무한 상황"이라며 "이전 28㎓ 5G 통신의 아쉬운 경험을 거울삼아 6G 인프라 구축이 우선돼야 하고 측정 장비 개발은 그 한 축을 담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체로 주파수 대역이 올라갈수록 통신 속도는 빨라지지만 통신 가능 거리가 짧아진다. 6G 통신은 현재의 5G 통신에 비해 주파수 대역이 높아지므로 짧아지는 통신 가능 거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안테나 관련 기술들이 필요하다.
6G 안테나가 제대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성능 측정이 우선이다. 정밀한 성능 측정으로 시제품 단계에서 안테나의 오작동 원인을 개선하고 품질을 높이는 것은 물론 양산 시점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안테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센서와 일정 거리를 두고 안테나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측정한다. 기존에는 금속 센서를 이용하다 보니 금속 고유의 전자파 반사 특성인 커플링 현상이 발생해 측정 값에 왜곡이 발생했었다. 연구진은 좁쌀 크기의 비금속 기반 센서로 대체해 이 문제를 간단히 해결했다.
표준과학연구원 홍영표 박사(왼쪽)와 이동준 박사가 6G 안테나 측정시스템으로 시제품의 성능을 테스트하고 있다. 표준과학연구원 제공
안테나 측정 시 센서와의 거리도 기존 수 m에서 수 ㎜로 줄여 측정 시간도 10분의 1 이상 줄였다.
특히 기존의 측정은 전자파 무향실과 같은 매우 크고 고정된 전용 측정시설에서만 가능했다. 하지만, 이번에 개발한 측정 장비는 크기와 중량이 컴퓨터 본체와 유사할 정도로 경량화해 이동이 쉽고 일반 실험실에서도 측정 가능하다.
이스트포토닉스 석호준 대표는 "지금까지는 스마트폰·기지국 안테나의 측정 장비가 모두 고가의 외산이었다"며, "6G 안테나 측정 장비 국산화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