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년 만의 최고 투표율을 기록한 22대 총선. 온·오프라인에서 민주주의 축제를 즐기는 투표 열기가 뜨거웠다. 본지가 찾은 투표소들 모두 남녀노소 다양한 계층이 모여 표를 던졌고, SNS에는 다양한 '투표 인증샷'이 넘쳤다.
서울 마포구 서강초등학교에 마련된 투표소에서 불편한 몸을 이끌고 투표권을 행사하러 오신 어르신들을 만났다. 아들의 손을 꼭 잡은 올해 89세 어르신은 "투표하는 기분이 아주 좋다. 투표소에 가기 힘들었는데 아들이 데리고 와줬다"며 뿌듯한 웃음을 지었고, 휠체어를 탄 73세 어르신은 "국민의 의무니까 하는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장애로 인한 불편을 딛고 투표권을 행사하러 온 유권자들도 주목을 끌었다. 뇌병변 장애를 지닌 30대 남성은 이번이 첫 투표권 행사라고 밝히며 "저 같은 사람들도 투표를 하고 정책이 바뀌면 삶이 나아지지 않을까"라고 기대했다.
경기 광명시 하안3동 투표소에선 후보들을 꼼꼼히 살피는 유권자들을 만났다. 선거벽보를 유심히 보던 한 50대 부부는 "선거 때마다 투표하면서도 나라가 크게 바뀔 것이란 기대는 안 하지만 새 국회에선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 좋겠다"고 바랐다. 30대 남성은 "지지하는 정당이 없어 후보들의 공약을 살펴 결정했다"고 말했다.
투표소를 배경으로 인증사진을 남기는 유권자도 눈에 띄었다. 한 30대 여성은 "투표를 꼭 해야 한다는 생각이 없다가 최근 SNS에 투표 인증문화가 확산되면서 투표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투표소 앞에 포토부스를 만드는 등 투표 인증문화를 더 활성화하면 좋을 것 같다"고 했다.
근래 선거 때마다 젊은 층을 중심으로 투표를 인증하고 독려하는 SNS 게시물이 대거 공유되고 있다. 기표도장을 손등에 찍는 것은 물론 유행하는 캐릭터를 활용하는 방식도 나타났다. 인스타그램에 투표 인증을 검색하면 여러 종류의 투표 인증샷을 찾아볼 수 있다. 투표를 권하고 투표소 밖에서 인증샷을 찍어야 한다는 유의사항도 덧붙였다.
지정 투표소가 아닌 곳을 찾아 발걸음을 돌리는 이들도 있었다. 서강초 투표소를 찾은 20대 여성은 "가까운 곳이라 왔는데 여기가 아니라고 해서 다시 찾아가야 한다"고 했다. 사전투표와 달리 본투표는 사전에 안내된 지정된 투표소에서만 투표가 가능하다.
투표안내문이나 지방자치단체 선거인명부 열람시스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투표소 연결 서비스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투표소를 잘못 찾아 투표를 못하자 소란이 벌어진 곳도 있다. 부산 진구 가야1동 투표소에선 다른 지역구 주민이 찾아와 투표를 못하게 한다며 난동을 피워 경찰이 출동했다.
uknow@fnnews.com 김윤호 노유정 홍요은 김찬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