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물가 뛰고 실업 줄고… 美 연준 금리인하 고민 커진다" [미리보는 ‘2024 FIND·제25회 서울국제금융포럼’]

세션1 메인강연 
스튜어트 길런 美 노스텍사스대 교수
연준, 통화정책 계획 전면 수정
금리 언제 얼마나 내릴지 불확실
테이퍼링 증가, 경제냉각 우려로
금융·무역동맹으로 달러패권 유지
강달러 지속 땐 지배력 흔들릴 것

"물가 뛰고 실업 줄고… 美 연준 금리인하 고민 커진다" [미리보는 ‘2024 FIND·제25회 서울국제금융포럼’]
‘2024 FIND·25회 서울국제금융포럼’에서 강연자로 나서는 스튜어트 길런 미국 노스텍사스대학교 교수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금리를 언제, 얼마나 인하할지 점점 더 불확실해지고 있다. 연준이 약속한 테이퍼링 증가도 금리인상과 경제냉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오는 24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앰배서더에서 개최되는 '2024 FIND·25회 서울국제금융포럼'에 세션1 미국 강연자로 나서는 스튜어트 길런 미국 노스텍사스대 교수는 22일 본지와 사전 인터뷰에서 올해 미국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 이같이 전망했다.

길런 교수는 연준의 금리인하 예상 시점이 지연되는 원인으로 인플레이션 상승과 실업률 감소 두 가지를 꼽았다.

그는 "(연준이 측정한 대로) 인플레이션은 최근 더 높아졌고 많은 기업이 대규모 직원 해고를 알렸지만 실업률은 다소 감소했다"면서 "이 두 가지 요인이 모두 파월 연준 의장이 금리인하 연기를 제안하는 데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길런 교수는 "걱정은 금리인하를 빨리 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급격하게 하는 것"이라면서 "(그 경우) 연준이 미국 경제를 연착륙(소프트랜딩)에서 더 멀어지게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임금과 물가 상승 압력이 줄어들고 난 뒤 금리인하를 하는 것이 미국 경제의 소프트랜딩으로 이어진다는 것으로, 연준이 금리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길런 교수는 초불확실성 시대에 '각자도생'의 통화정책이 펼쳐지면서 미국 달러패권이 흔들리고 있다는 일각의 지적과 관련, "미국은 금융동맹과 무역동맹을 맺고 있어 한동안은 달러 지배력을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현재 '강달러'는 기존 동맹과 무역 파트너십에 암묵적으로 의존하고 있어서 향후 미국 정책에 따라서 달러 지배력이 하락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다음은 스튜어트 길런 교수와 일문일답.

―현재 미국 경제 상황과 연준 통화정책 방향을 예상해본다면.

▲연준이 최근 인플레이션 수치를 고려해서 금리인하 논의를 뒤로 미뤘다. 오늘날 시장은 연준이 금리를 언제, 얼마나 인하할지 점점 더 불확실해지고 있다. 연준이 약속한 테이퍼링 증가도 금리인상 및 경제냉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인플레이션이 최근 더 높아졌고 많은 기업이 대규모 직원 해고를 알렸지만 실업률은 오히려 다소 감소했다. 이 두 가지 요인 모두 파월 연준 의장이 금리인하 연기를 제안하는 데 기여했다. 고용 증가와 소비자 지출은 기대치를 넘어서고 소비자 부채, 신용카드·자동차 대출 연체율도 증가하고 있다. 앞으로 해고가 가속화되고 순고용증가율이 감소하기 시작하면 소비자 지출이 줄고 임금과 물가에 대한 압력이 줄어들 것이다. (연준의) 걱정은 금리인하를 빨리 안하는 것이 아니라 '급격하게' 하는 것이다. 그것이 연준이 미국 경제를 연착륙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중국과 러시아는 위안화 동맹을 통해 달러패권에 도전하고 있다.

▲미국은 금융동맹과 무역동맹을 맺고 있기 때문에 한동안 달러가 지배력을 유지할 것이다. 확실히 위안화가 러시아와 브릭스 등 다른 국가에 달러 대안이 될지 의문이 있다. 하지만 현재 단계에서는 이익이 상대적으로 미미하다고 판단된다. 다만 현재 강달러는 기존 동맹과 무역 파트너십에 '암묵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사실 미국의 일부 정책은 달러 지배력에 반하는 효과를 내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를테면 미국의 러시아 제재로 일부 국가는 향후 유사한 제재를 피하기 위해 달러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게 될 것이다.

―전쟁과 선거는 지정학 시대를 열고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본은 변하지 않는다. 오히려 더 중요한 문제는 연준의 금리정책, 대선을 앞두고 있는 정치적 불확실성 그리고 지정학적 긴장이다. 미국 국내적으로는 전반적인 경제 상황과 금리, 다가오는 대선과 관련된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것과 사회적 분열이 미국 내 큰 화두다. 동시에 국제적으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전쟁,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정학적 긴장이 지속되는 것도 미국의 현재 큰 관심사다.

―미국의 첨단 산업집중도가 더욱 가팔라지고 있다.

▲미국 국가안보와 경제 발전에 중요하다고 간주되는 산업은 계속해서 보호를 지속하고 보조금을 지급할 것이다. 경쟁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고, 외국인 소유를 제한하고, 외국 기업의 미국 기업 인수를 제한하는 등의 방식으로 말이다. 반도체 제조, 전기차 등 중국산 제품의 공급과잉으로 미국 상황은 더 악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는 미국의 정책 대응에 실패하면 한국 기업과 한국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이는 (한국과 같이) 금융동맹, 무역동맹이 확립된 국가와 정치·외교 영역에서 풀어가야 할 일이다.

―금융지주회사 지배구조 개선은 한국 금융시장에서 큰 화두다.

▲지난 1930년대 중반 미국에서 기업 주주의 법적 권리와 기업 투명성을 모두 높이는 증권법 개정과 기업 간 배당금에 대한 과세가 피라미드형 기업 지배구조를 해체하는 데 적지 않은 기여를 했다. 최근 일본에서는 이사회 독립성을 높이고 기업 지배구조에 기관투자자의 참여도를 높이는 한편 일본 정부가 일부 기업에 교차 보유 지분을 매각하도록 압력하는 등 직접적인 조치를 취했다.
지배구조 개혁의 핵심은 매우 광범위한 수준에서 주주에 대한 투명성과 책임성을 높이는 것이다. 하지만 결국 변화를 실행하는 능력은 변화를 하려는 법과 제도, 문화 그리고 여론에 달려 있다. 한국도 그렇지만 미국, 일본도 정치사회적 지형 변화에 따라 의지가 달라진다.

gogosing@fnnews.com 박소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