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포함 G20도 탈탄소 압박
'전기 먹는 하마' AI 대응 시급
재생에너지·원전 동시 육성 필요
최상목 부총리, ADB 총회 참석 제57차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 참석차 조지아 트빌리시를 방문중인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5일(현지시간) 쉐라톤호텔에서 열린 'ADB 거버너 비즈니스' 세션에서 발언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최근 주요 7개국(G7)에서 석탄화력발전 폐지를 발표하면서 향후 우리나라의 에너지 방향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G7에서 결정된 사안이 주요 20개국(G20)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G20 회원국가인 우리나라로서는 탈석탄 행렬에 동참할 가능성이 높아진 셈이다. 다만 인공지능(AI)으로 촉발된 전력수요 확대 전망 등을 감안해 재생에너지 또는 원전 등으로 치우칠 것이 아니라 무탄소 전원인 재생에너지와 원전을 동시에 키울 수 있는 혜안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G7, 석탄화력 발전 폐지
5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 등에 따르면 G7 기후·에너지·환경장관들은 지난 4월 29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북부 토리노에서 회의를 하고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늦어도 2035년까지 석탄화력발전소를 폐쇄하기로 합의했다.
G7의 석탄 사용 감축 논의는 지난 2016년 본격화했다. 일본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에서 2025년 화석연료 보조금 철폐를 선언했고, 유럽을 중심으로 하는 '탈석탄 동맹' 20개국이 2030년 '단계적 석탄 사용 중단'을 공언하며 전 세계 탈석탄 기조에 불을 붙였다.
여기에 이번 합의는 그동안 논의해온 '단계적 축소'에서 더 나아가 '퇴출'로 기조가 바뀌었기 때문이다. 다음은 한국이 포함된 G20 차례이다. 중국과 인도 등 탄소배출량이 높은 특성상 합의가 이뤄지긴 쉽지 않겠지만, G20 역시 G7의 기조를 따를 가능성이 높다.
현재 우리나라는 지난 2022년 발표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을 통해 2023년 40.2GW였던 석탄화력 발전 비중을 2036년까지 27.1GW로 줄이기로 한 상태다. 하지만 국내 석탄화력발전 폐지까지 검토하지는 않았다. 정부는 노후 석탄발전소가 좌초자산이 되는 걸 방지하기 위해 폐지가 아닌 '휴지보존'을 결정했다. 하지만 연내 발표 예정인 11차 전기본에서는 G20의 결정에 따라 석탄화력 감축·폐지 문제를 담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늘어나는 전력수요
그동안 석탄화력이 각광을 받았던 것은 저렴하다는 경제성 외에 안정적 전력생산과 유연한 출력제어 때문이다. 석탄화력은 재생에너지와 달리 날씨 영향 없이 안정적으로 전력생산이 가능하다. 또 다른 기저전원이자 온·오프 과정이 어려운 원전과 달리 석탄화력은 전력수요가 피크일 때는 기저전원으로, 전력수요가 낮을 땐 쉽게 끌 수 있는 있는 것이 장점이다. 석탄화력을 폐쇄하는 것은 나머지 전원으로 이 같은 장점을 대체해야 한다는 의미다.
문제는 인공지능(AI) 산업으로 인해 늘어나는 전력수요다. AI모델 학습에는 많은 전력이 필요한데 자연어 처리를 위한 GPT-3 모델 같은 경우 한번 학습시키는 데 약 1.3기가와트시(GWh)를 소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한국 전체에서 약 1분간 소비하는 전력량과 같은 수준이다. 또 현재 전 세계 국가가 AI로 소모하는 전력량은 약 4.3GW로, 이는 일부 소규모 국가의 전력사용량과 맞먹는 수준이다.
향후 AI 사용이 늘어날수록 전력수요는 더욱 가파르게 증가할 전망이다.
이 때문에 유럽연합(EU) 내에서도 프랑스를 필두로 친원전 국가들이 원전을 부활시키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탄소중립이 전 세계적 화두가 되고 있다는 점에서 석탄화력 등 화석연료 비중은 줄어들 것"이라며 "정치적 프레임으로 재생에너지와 원전을 바라볼 것이 아니라 양쪽 모두를 화석연료의 대체재로 바라보고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leeyb@fnnews.com 이유범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