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이창용 "금리인하 시점 불확실성, 4월보다 커져"

금통위 정례회의 기자간담회
인하 폭에 대한 논의는 아직 안해

이창용 "금리인하 시점 불확실성, 4월보다 커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파이낸셜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3일 "하반기 금리인하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이 4월에 비해 커졌다"고 말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날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 이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4월 금통위 당시 금리인하 관련 입장과 달라진게 있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 총재는 금리인하 폭에 대해 금통위원들의 논의가 있었냐는 질문에 대해 "금리인하 시점을 확인하고 다음에 인하 폭을 생각해야 하는데 인하 시점 불확실성이 커서 (인하 폭에 대해서는) 논의를 안했다"고 말했다.

이어 "물가가 잡히기 전에는 물가가 가장 중요한 변수이기 때문에 물가지표에 집중하지만 물가가 안정됐을 떄는 내수와 수출 등을 고려해서 폭을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 총재는 이날 금통위원들이 전원일치로 금리를 3.5%로 동결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는 "저를 제외한 여섯 분의 금통위원들이 3개월 후 금리 수준에 관해 한 분은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금리가 낮아질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이어 "나머지 다섯 분은 3개월 후에도 3.5%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였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3.5% 유지 의견은 물가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지만, 물가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기 때문에 물가가 목표 수준(2%)으로 수렴할 때까지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분은 물가 상승 압력이 올라간 것은 사실이지만, 내수 회복세가 상대적으로 완만할 것으로 보이고 물가상승률도 둔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통화 정책 파급 시차를 고려하면 선제적으로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했다"고 전했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