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3국 협력 완전 정상화 기대… 日과 라인사태 논의하나 [한일중 정상회의 27일 개최]

日기시다 총리·中리창 총리 방한
인적교류·경제통상·과학기술 등
6개 분야 협력 공동선언 채택 방침

3국 협력 완전 정상화 기대… 日과 라인사태 논의하나 [한일중 정상회의 27일 개최]
윤석열 대통령이 2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제2차 경제이슈점검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일·중 정상회의가 오는 26일과 27일 1박2일간 서울에서 열린다.

지난 2019년 12월 중국 청두에서 제8차 한·일·중 정상회의가 열린 뒤 4년5개월 만에 열리는 이번 3국 정상회의를 통해 3국 협력체제가 정상화되는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대통령실은 기대했다. 한·일·중 3국은 이번 정상회의로 인적교류와 기후변화 대응, 경제통상 협력, 보건 및 고령화 대응, 과학기술, 재난 및 안전 등에 대한 협력을 구체화해 3국 공동선언에 담을 계획이다.

다만 일본과의 양자 정상회담에서 라인야후 사태에 대한 언급 여부와 한·일·중 3국 정상회의에서 러·북 무기거래를 비롯해 북한 비핵화 등에 대한 논의 여부는 미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일·중 정상, 경제인들도 만나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23일 서울 용산 청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의 한·일·중 정상회의 개최 소식을 발표했다.

윤 대통령은 첫날인 오는 2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리창 중국 총리와 회담한 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을 잇따라 한다.

이어 3국 대표단과 경제계 인사 약 80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일·중 3국 정상이 함께하는 공식 환영만찬을 할 예정이다.

둘째 날인 27일에는 한·일·중 정상회의를 한 뒤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 리창 총리는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에 함께 참석해 연설을 하고 행사에 참석한 3국 경제인들을 격려할 계획이다.

이번 3국 정상회의로 한·일·중 3국 협력체계를 완전히 복원해 정상화할 것으로 기대한 김 차장은 "이번 정상회의는 3국 국민들이 혜택을 체감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이고 실질적인 협력의 모멘텀을 확보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3국 국민들이 서로 활발히 교류하고 안전하게 활동할 여건을 조성, 3국 모두의 경제발전을 촉진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분위기를 조성한다는 것이다.

△인적교류 △기후변화 대응협력을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 도모 △경제통상 협력 △보건 및 고령화 대응 협력 △과학기술디지털 전환 협력 △재난 및 안전협력 등 6가지 협력 분야를 일본과 중국 측에 제시한 우리 정부는 해당 결과도 3국 공동선언문에 포함시킨다는 목표다.

한중 양자회담과 관련, 김 차장은 "한국과 중국 양국 간 전략적 소통 증진, 경제통상 협력 확대와 중국 내 우호적 투자환경 조성, 인적 문화교류 촉진, 한반도 정세를 포함한 지역 및 글로벌 현안에 대한 협력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일 정상회담에서 라인야후 사태가 의제가 될지에 대해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미리 의제를 정해놓고 회담에 임하지는 않는다"면서 "한일 간 얘기할 수 있는 양자 간의 협력 현안들이 산적해 있는데 양국 정상이 각자 꼭 제기하고 싶은 의제가 있으면 현장에서 제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UAE·아프리카 정상외교도 가동

한·일·중 정상외교 외에도 윤 대통령은 오는 28~29일 1박2일간 우리나라를 국빈방문하는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 나하얀 아랍에미리트(UAE) 대통령과도 정상외교를 가동한다.

무함마드 대통령이 한국을 찾는 것은 지난 2022년 5월 취임 후 처음으로, 김 차장은 "지난해 1월 윤 대통령 부부가 UAE를 국빈방문했을 때 대통령궁 공식 환영식에서 기마병, 낙타병을 다수 도열해 성대하게 환영받았듯 우리나라도 최대의 예우를 동원해 공식 환영식을 할 예정"이라고 했다.

이에 따라 오는 28일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에 무함마드 대통령이 탄 비행기가 진입하면 공군 전투기 4대가 따라붙어 호위비행하고 29일 공식 환영식에선 전통의장대와 취타대 100여명, 아크부대 관계자 500여명, 어린이 환영단 130여명 등이 UAE 대표단을 맞이한다.
공군 블랙이글스 축하비행도 열릴 계획이다.

김 차장은 "양국 정상은 4대 핵심분야, 즉 전통적 에너지와 청정에너지, 평화적 원자력 에너지, 경제와 투자, 국방과 국방기술 4가지 분야에서 협력을 더욱 높은 차원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내달 4~5일 국내에서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개최 소식도 전한 김 차장은 "45개국 이상 대표단의 방한이 예상돼 윤석열 정부 출범 이래 최대 규모의 다자 정상회의가 될 전망"이라면서 "한국이 최초로 다수 아프리카 국가를 대상으로 개최하는 다자 정상회의"라고 말했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