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회 재난안전 지진포럼이 파이낸셜뉴스, 행정안전부 주최로 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열렸다. 누마다 무네요시 도쿄대학교 교수가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 사진=서동일 기자
제7회 재난안전 지진포럼이 파이낸셜뉴스, 행정안전부 주최로 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열렸다. 박용성 서울대학교 교수가 강연을 하고 있다. 사진=서동일 기자
국내외 석학들이 재난대응 공조시스템이나 훈련센터를 갖춘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제언했다.
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열린 '제7회 재난안전 지진포럼'에서 기조연설에 나선 누마다 무네요시 도쿄대 교수는 일본 정부가 구마모토 지진 이후 '재난대응 프로세스 관리시스템(BOSS)'을 구축했다고 이같이 설명했다. 해당 시스템은 재난 발생 시 각 업무 또는 부서별로 재난 대응 프로세스를 생성하게 된다.
과거 재난 대응 시 작성된 필요한 매뉴얼, 국가별 알림, 파일 등을 활용해 업무에 익숙하지 않은 직원도 전체적인 그림을 빠르게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다. 매뉴얼과 시스템으로 재난대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이 시스템은 클라우드 기반 접근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재난 시 현장이나 다른 지자체 지원을 위해 파견될 때 활용할 수 있다고 누마다 교수는 설명했다.
그는 "이를 통해 직원들은 사무실 외부에서 태블릿 장치를 사용해 시스템에 접속하고 정확한 응답을 제공할 수 있다"면서 "재난대응을 위해 정보통신기술(ICT), 데이터 변환, 무선 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재난 대응 운영을 표준화하고 시스템 운영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지원 인력이 들어오더라도 공통된 이해를 통해 재난 피해 지역에 대한 지원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면서 "또한 지자체별로 재난 시스템에 차이가 없도록 하기 위해 전국적인 시스템의 일반화와 함께 중앙 정부 공무원이 자치단체를 적극 지원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용성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는 '지진해일 대응체계 혁신기술'에 대한 강연을 통해 쓰나미가 산사태, 지진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역설했다.
△쓰나미의 발생 원인과 과정 △쓰나미의 영향과 대처 방법 △쓰나미 연구의 중요성과 향후 연구 방향을 소개한 박 교수는 쓰나미 발생이 지진 혹은 산사태가 원인이 될 수 있다고 개진했다.
그는 "쓰나미가 발생하면서 전파의 형태와 전파 이후 육지에 도착하면 무슨 일이 벌어지느냐 등을 연구하고 있다"면서 "쓰나미가 도착했을 때 지상에 미치는 영향을 결정하는 것은 '파라미터'가 하나는 '길이'고 또 하나는 물결의 높이인 '파고'"라고 설명했다.
이어 "파고는 얼마나 높이 올라가느냐를 결정하고 길이는 얼마나 오랫동안 머무르냐를 결정한다"면서 "경사가 급하니까 더 높이 올라가는 걸로 계산돼서 더 안전한 안전한 측으로 설계를 할 수 있지만, 반면 너무 짧아서 그전에 대해서는 대비를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세계에 큰 규모의 조파장치가 많이 있는데. 어떤 조파장치도 이렇게 긴 파도를 만들 수가 없다"며 "쓰나미가 흐름이라는 것을 감안하고 지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다 상세하게 연구하고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지진해일의 부정류 흐름 특성을 반영한 연안 재난대응 체계 개선을 위해 △광역지진해일 수치모형 개발 △상세역 지진해일 수치모형 개발 △부유체 거동 수치모형 개발 △실험 및 현장 관측 기술 개발 등을 제안했다.
제7회 재난안전 지진포럼이 파이낸셜뉴스, 행정안전부 주최로 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열렸다. 홍기증 국민대학교 교수가 강연을 하고 있다. 사진=서동일 기자
'지진위험관리와 미국 지진방재 제도'를 주제로 강의에 나선 홍기증 국민대학교 교수는 지진 피해 저감을 위해 여러 기관의 협력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의 지진방재제도 NEHRP(The National Earthquake Hazards Reduction Program)에 대해 소개하면서 "지진방재를 위해서는 여러 기관들이 협력이 필수"라면서 "이를 통해 지진 피해 저감을 하기 위해 실질적인 실무와 정책을 개발하는 것이다. 궁극적인 목표는 인명과 재산의 위험을 줄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홍 교수에 따르면 미국의 지진방재제도 NEHRP에는 NIST(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FEMA(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USGS(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NSF (National Science Foundation) 등 4개 기관이 협업하고 있다.
이들은 지진위험을 특성화 및 평가하기 위한 연구 및 기타 활동을 수행하거나 국제적 교류를 위한 포럼을 운영한다.
또 구조물과 라이프라인의 건설코드를 위한 지진재해지도 및 성능기반설계 접근법에 필요한 다른 지도의 유지관리와 함께 건물, 구조물 및 라이프라인의 안전과 성능 개선을 위한 연구 지원도 포함됐다.
홍 교수는 "해당 기관들은 지진복원력 평가와 관련된 연구와 그 결과를 시행하기 위한 통합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한편, 연구에서 나온 결과들을 제도적으로 만드는 것까지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나라 또한 높아지는 지진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행안부, 기상청, 각 부처, 연구기관들을 통합해 협업할 수 있는 지진방재 제도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njk6246@fnnews.com 노진균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